KIST MODEL: Its Transformation and Changes
KIST는 한국의 첫 번째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많은 개발도상국들이 벤치마킹 할 모델로서 주목하고 있다. 그 때문에 KIST가 어떻게 설립되었고, 운영되었는지, 그리고 어떤 역할을 담당했는지를 체계적으로 설명한 ‘KIST 모델’의 구축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KIST는 50년이 넘는 역사 속에서 적지 않은 변화를 경험했기 때문에, 새로운 연구소를 세워 자국의 과학기술 수준을 끌어올리려는 개발도상국에게는 현재의 KIST가 아닌, 역사적 궤적을 통해 재구성한 설립 초기의 KIST 모델이 필요하다. 이 글은 1966년 설립에서 KIST가 한 국 사회에서 안착하여 성공적인 연구소로 인정받았던 1980년까지를 대상으로 KIST 모델의 형성과 변천을 추적해보고자 한다. 특히 중장기 산업정책 수립 등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KIST가 한국사회에 미친 기여를 정확히 이해해볼 것이다. 동시에 KIST가 거둔 성취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 요소를 확인함으로써 KIST 모델의 이식 성공 가능성을 높여 보겠다.
The first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GRI) in Korea, KIST has been in the spotlight as a model for developing countries to follow. Interest is growing in the KIST Model, which systematically describes how KIST was established, operated, and played its role. KIST has experienced considerable changes in its more than 50 years of history. In line with this, developing countries that want to build new institute and raise their own level of Science and Technology need this model to be reconstructed through the historical trajectory rather than the current ones. This paper tries to trace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the KIST Model from the establishment in 1966 to 1980 when KIST was recognized as a successful laboratory. In particular, we will understand exactly what KIST has done to Korean society by identifying its role as a think-tank, such as establishing mid- to long-term industrial policies. At the same time, we will increase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transplantation of the KIST Model by revealing factors that have important influences on KIST’s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