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aning of Building Aesthetic Experience-oriented Spaces Off School Property - Gyeonggi School Arts Studio -
본 연구는 공간혁신을 통한 교육적 변화 가능성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감각중심의 예술 교육의 목적 실현을 위해 구축 된 학교 밖 미적경험 중심 공간의 의미를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근래에 학교의 역할 변화와 함께 공간 혁신을 통한 교육적 목적 실현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공간이 단순히 장소의 개념을 지니기 보다는 소통하고, 교접하며 만나는 의미를 담고 있는 곳으로, 삶을 반영하는 곳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학교 밖 미적경험을 위한 공간은 학교 안과 학교 밖을 연결하는 지역연계의 의미와 함께 학교와 지역사회의 벽을 낮추고 함께하기 위한 공유 공간의 의미를 담고 있다. 시대 변화에 따른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는 지금까지 강조되어 온 기능중심의 예술 교육에서 몸과 이성의 조화, 감각중심의 접근으로 보는 것에 대한 생각, 듣는 것에 대한 생각, 움직이는 것에 대한 생각을 깨어나게 하는 미적 경험의 의미를 되짚는 측면으로 교육적 전환을 요구를 하고 있다. 기존의 학교 공간은 경직되고 닫힌 공간으로, 지식 전달 중심의 교과체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반면 자유로움의 경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였다. 미적경험중심 공간인 경기 학교예술창작소의 예술 활동은 장소의 의미를 넘어 사유와 자유로운 표현을 확장할 수 있는 미적 경험 중심의 활동으로 운영된다. 따라서 수평적이며 민주적인 활동을 위한 교육적 접근을 근간으로 한다. 현대의 예술은 영역 분절적 접근이 아닌, 삶 자체를 성찰하고 돌아보는 영역으로,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의미로서 표현되고 있다. 미적경험 공간을 중심으로 학교 안 예술 활동과 학교 밖 예술 활동을 연계하기 위한 시도는 교육적 변화를 이끌어간다는 점에서, 지역연계 예술 활동과 관련을 맺으며 학생 선택권 확장을 위한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visual art activities in off school space that was built based on enhancing aesthetic experiences. Education is emphasized in the changing the role of schools and achieving educational goals through space innovation. This is because space is not only a concept of place but also a place that reflects life that contains the meaning of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The space for aesthetic experiences outside schools contains the meaning of community connection between the school and the world outside, as well as being a shared space for their community. The change of the education paradigm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rt education reflects the meaning of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he direction of harmonizing body and reason, and sensation, in function-oriented activities. Most school spaces are rigid and closed (space), while the knowledge delivery-oriented curriculum is effective, limiting the boundaries of freedom. The aesthetic experience center off school property acts as a free and open space that awakens the senses pursued in arts education. Art activities in aesthetic experience-oriented spaces can expand thinking beyond the meaning of places and expand freedom, enabling educational access by horizontal and democratic educational activities. Contemporary art is not a segmented approach but reflects on one’s life itself. It is expressed as a connection between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is means a change in arts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function of practical skills. Connecting the limits of on and off school property arts education activities also makes sense in connection with community-related arts activities and in expanding student cho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