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1차 자료와 2차 자료에 의한 전략집단 분류의 비교분석 - 중국 화장품 산업을 대상으로 - KCI 등재

Comparative Analysis of Strategic Group Classification by Primary and Secondary Data - Focused on the Chinese Cosmetics Industry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1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국제경영연구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한국국제경영학회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초록

중국의 유망한 성장산업으로 들 수 있는 것이 화장품산업이다. 중국 화장품산업과 관련한 국내외 연구를 요약 하면,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중국 화장품산업의 진출전략 또는 수출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대부분의 국내 연구가 여기에 해당한다. 둘째는 중국화장품 산업의 전망을 분석하고, 경영전략의 차원에서 미래 성장전략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두 번째 연구흐름과 관련이 있다. 즉, 중국 화장품 산업에 속하는 주요 기업의 전략유형을 인지적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집단 분류의 동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중국의 화장품 기업을 대상으로 분류한 전략집단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전략집단이 본 연구를 통해서도 분류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만약 기존 연구와 본 연구가 독립적으로 분류한 전략집단의 유형이 동 일하게 나온다면, 두 연구의 타당성은 높아질 것이다. 둘째, 전략집단 소속의 일관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는 전 략집단 분류의 동일성이 달성될 경우, 각 전략집단에 소속되는 기업들도 일관되게 분류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상의 두 가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 화장품 산업에 속하는 50개 기업을 대상으로 최고 경영층 인지적 특성을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략집단을 분류하고, 그 결과를 기존 연구 (량최정․방호열, 2019)와 비교함으로써 전략집단 분류의 동일성(첫 번째 연구목적)과 전략집단 소속의 일관성 (두 번째 연구목적)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중국 화장품 기업의 전략유형에 있어서, 기존 연구와 본 연구가 분류한 유형이 유사하 게 나타났으며, 전략집단의 소속도 일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전략집단 분류의 동일성과 전 략집단 소속의 일관성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국의 화장품 산업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 는데 유용한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전략집단과 관련한 개념과 이론이 중국과 같은 신흥국 시장에도 적용가능하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cosmetics industry is one of the promising growth industries in China. Generally,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on the Chinese cosmetics industry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streams. The first is the study on the entry strategy or export strategy of the Chinese cosmetic industry and most domestic studies fall into this category. The second one analyzes the prospects of the Chinese cosmetics industry and suggests future growth aspects in terms of management strategy.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second research flow. In other wor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ategic types of the major cosmetics companies in China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dentity of strategic group classification is verified. This is to verify whether the types of strategic groups classified by the secondary data for the cosmetics industry in China in the previous study (CuiJing-Liang, HoYeol-Bang, 2019) are classified the same through the primary data. If the types of strategic groups classified by the primary and secondary data are the same, the validity of these studies will increase. Second, the consistency of strategic group affiliation is testified. This ensures that if the identity of strategic group classification is achieved, the firms in each strategic group will also be of great consistenc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wo objectives, this study has measure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managers in 50 companies in the Chinese cosmetics industry. Based on this, the strategy group is classifi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research (CuiJing-Liang, HoYeol-Bang, 2019) to verify the identity of the strategy group classification (first study purpose) and the consistency of strategy group membership (second study purpose).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the classification of strategic groups using primary and secondary data is similar in the strategic types of Chinese cosmetics companies. As a result, the identity of strategic group classification and the consistency of strategic group membership could be verified. These findings will be useful in understanding China's cosmetics industry and in developing effective strategies. It can also be seen that concepts and theories related to strategic groups are also applicable to emerging markets such as Chin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2.1 전략집단에 관한 이론적 배경
    2.2 인지적 관점의 전략집단
Ⅲ. 연구방법
    3.1 선행연구와 본연구의 차이점
    3.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3 변수 도출 과정
    3.4 분석 절차
Ⅳ. 중국 화장품 산업의 전략집단 분류와 성과
    4.1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4.2 중국 화장품 산업의 전략집단 분류(설문구성에 따른 전략집단 분류)
    4.3 전략집단간 성과 차이
    4.4 1차 자료와 2차 자료에 의한 전략집단의 비교분석
Ⅴ. 논의 및 시사점
References
Abstract
저자
  • 량최정(부산대학교 경영학과) | Cui-Jing Liang
  • 방호열(부산대학교 경영학과) | Ho-Yeol Ba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