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소양호의 1차생산과 유기탄소 수지 KCI 등재

Primary Production and Organic Carbon Budget in Lake Soya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2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1986년부터 1995년까지 소양호에서의 유기탄소수지를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1차생산에 의한 자체생산 유기탄소, 유역으로부터의 외부기원 유기탄소, 그리고 양어장으로부터의 유기탄소 유입을 측정하여 전체 유기 탄소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소양호의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1일 1차생산은 여름의 최대강우의 시기와 일치하여 높게 나타났다. 호수내 자체생산 유기탄소와 유역으로부터의 외부기원 유기탄소는 연간 변동이 거의 일치하였다. 이것은 강우기에 유기탄소와 함께 유입되는 영양염류의 공급이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유기탄소 생산을 증가시킨 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1차 생산력은 조사기간동안 4~5,357 mgC m-2 day-1로 여름에 높게 나타났다. 한편 양어장의 유기탄소 부하에 대한 기여도는 총부하량의 2.3~7.2%로 인 등의 영양염류 부하량에 대한 기여도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양호 유기탄소수지에서 호수밖으로 배출되는 유기탄소량은 총부하량의 10.2~17.1%로 나머지는 호수내에서 호흡 등으로 분해되고 일부는 침전되는 것으로 보인다. 자체생산에 의한 유기탄소기여도는 총부하량의 34.7~69.6%로 주요 유기물 근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organic carbon budget was surveyed to clarify the contribution of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on in Lake Soyang from 1986 to 1995. Autochthonous organic carbon was calculated from the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Allochthonous organic carbon was analyzed by measuring COD input from watershed and discharge from fishfarms in the lake. Outflowing organic carbon from lake were measured by COD at the outlet of the lake. Annual primary production ranged 7,000 ~19,000 tC/yr, primary productivity was higher in summer. During 2~3 month in a year primary productivity exceeded the criteria of eutrophic lake, 1,000 mgC m-2 day-1. Both autochthonous and allochthonous loading of organic carbon were highest in summer from June to September. The inorganic nutrients and organic carbon input via storm runoff stimulated the phytoplankton production in late summer. The contribution of organic carbon loading from autochthonous production accounted for average 51% of the annual organic carbon loading. While allochthonous organic input was 49%.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인 용 문 헌
저자
  • 김범철(강원대학교 환경학과) | Kim Bomchul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 Corresponding author
  • 황길순(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 Gilson Hwang (Rural Development Corporation, Rural Research Institute)
  • 김동섭(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소) | Dong- Sup Kim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Water Resource Research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