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역 변경을 이용한 수자원 확보방안의 에머지(Emergy) 비용-편익 평가 KCI 등재

Emergy Cost-Benefit Evaluation on a Proposal of Water Supply Using Water Divers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2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유역 변경을 통한 수자원 확보방안으로 추진되고 있는 소규모 저류댐 건설에 대한 평가를 사례로 들어 자연 환경의 개발 계획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에 에머 지(Emergy)라고 하는 새로운 개념을 적용하였다. 에머지 개념은 환경 자원들이 우리 경제의 진정한 부에 기여하는 바를 평가하려는 시도이다. 에머지 평가를 위한 모델들은 시스템의 네트워크 특성들을 특별한 기호들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모델링 언어인 에너지 시스템 언어(Energy Systems Language)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제안된 댐 건설이 가져오는 대부분의 에머지 편익은 이 댐의 건설 목적인 용수 공급에 있었다. 댐의 건설로 형성될 호수의 생산성 증가로 인한 에머지 편익은 0.01% 미만으로 미미하였다. 주요 에머지 비용은 댐 건설비용 (28.2%), 유지관리비용 (27.2%), 사회적 혼란(22%), 수몰민의 이주비용(12.5%) 등으로 나타났다. 에머지 산출비율(Emergy yield ratio)은 퇴적물의 손실이 포함되지 않았을 경우 1.06, 퇴적물의 손실 포함되었을 경우 1.02로 나타나, 제안된 댐 건설의 순산출(Net yield) 은 그리 크지 않았다. 전통적인 비용-편익 분석 방법에 의한 비용-편익비(1.62)와 비교하여 볼 때, 에머지 개념을 이용한 비용-편익 평가에서는 제안된 댐의 편익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에머지 산출비율은 생물종에 포함된 높은 에머지 때문에 시스템의 경계내에서 댐의 건설로 희귀 생물종의 손실이 일어난다면 1.0 미만으로 나타날 것이다. 이 경우 댐의 건설이 초래하는 에머지 비용은 에머지 편익보다 더 크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환경 자원이 감소하는 현 시점에 있어서 환경의 보다 나은 관리라는 측면에서 개발 계획들의 영향을 평가하는 데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소개하였다.

A dam construction proposal for stable water supply was evaluated using the emergy concept to illustrate an application of this new concept in cost-benefit analysis of development proposals of natural environments. Emergy concept tries to evaluate the contributions of environmental resources to the real wealth of our economy. Models for emergy evaluation were constructed with the energy systems language; a symbolic modeling language that shows network properties of systems holistically. Water supply accounted for most emergy benefit of the dam construction. Increase in the aquatic productivity, another emergy benefit of the dam construction, was very minor in the total emergy benefit (less than 0.01%). Major emergy costs were in construction cost (28.2%), operation and maintenance (27.2%), social disruption (22%), and resettlement of people (12.5%). Emergy yield ratio was 1.06 when sediments were not included, and 1.02 when sediments were included, which resulted in small net yield in both cases. Emergy cost-benefit evaluation yielded less benefit for the proposed dam construction compared to that evaluated by the traditional cost-benefit analysis, 1.62. The emergy yield ratio would fall below 1.0 if rare species within the system boundary are lost as a result of the dam construction, because of the high emergy value included in biotic species. In this case, emergy costs will be greater than emergy benefits. This study illustrated a new methodology in assessing effects of development proposals of natural environments.

목차
서 론
에머지 (Emergy) 개념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인 용 문 헌
저자
  • 강대석(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Kang Daeseo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Ewha Wome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박석순(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Seok Soon Par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Ewha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