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omparisons of Temperature-Related Life Histories in Two Ephemerid Mayflies (Ephemera separigata and E. strigata: Ephemeridae, Ephemeroptera, Insecta) from a Mountain Stream in Korea KCI 등재

강원도 치악산 계류에서 하루살이 두 종 (가는무늬하루살이, 무늬하루살이: 하루살이과, 하 루살이목, 곤충강)의 온도와 연관된 생활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2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강원도 치악산 계류에서 하루살이과에 속하는 가는무늬하루살이와 무늬하루살이의 온도와 연관된 생활사 적응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하루살이 개체군의 고도분포에 따라 3개의 조사지점(상류와 중류지점: 가는무늬하루살이; 하류지점: 무늬하루살이)을 선정하였다. 채집은 1997. 2~1998. 1 동안 월 1회 실시하였고, 우화기에는 월 2회 실시하였다. 수온은 1997. 5~1998. 1 동안 시간대로 모니터링 하였다. 결과로서, 3개의 조사지점은 서로 다른 온도역(평균온도 상류: 9.39°C; 중류: 10.38°C; 하류: 12.70°C)을 나타냈다. 체장과 유충단계의 분석 결과 두 종 모두 명백히 연 1세대였고, 각 개체군은 2개의 무리(cohort)를 포함하였다. 우화는 늦은 5월부터 늦은 6월까지 일어났지만 하류로 갈수록 일렀다. 유충의 충원은 우화기(여름형)와 그 5~6개월 이후(겨울형)에 시작되었다. 이처럼 2회에 걸친 유충의 충원에 대하여 알의 휴면 또는 무성생식이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상류와 중류에서 가는무늬하루살이의 총 적산온도는 각각 2380DD와 2668DD였고, 하류에서 무늬하루살이는 3220DD였다. 가는무늬하루살이의 경우 연평균수온이 1°C 내려감에 따라 알의 부화는 약 22일, 평균 유충성장은 약 15일 지연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가는무늬하루살이는 냉온에 적응된 생활사 양상을 나타냈고, 다른 한국산 및 일본산 근연종과 비교하여 종내 및 종간 생활사 적응에 대하여 추가로 논하였다.

Temperature-related life history adaptations in two ephemerid mayflies, Ephemera separigata and E. strigata, were studied from a mountain stream in Korea. Three study sites were chosen based on the altitudinal distributions of the Ephemera populations (upstream and midstream sites: E. separigata; downstream site: E. strigata). Samplings were taken monthly from Febru-ary 1997 to January 1998, but semimonthly during the emergence period. Water temperature was monitored hourly from May 1997 to January 1998. As results, three sites represented their own temperature regimes (mean temperature upstream: 9.39􀆆C; midstream: 10.38􀆆C; downstream: 12.70􀆆C). Both E. separigata and E. strigata showed evident univoltine life history pattern and two cohorts were recognized in each population based on the analyses of body length and larval developmental stages. The emergences took place from late May to late June, but earlier at the lower sites. Larval recruitments occurred during the emergence period (summer cohort) and 5~6 months later from the emergence period (winter cohort). It was hypothesized that either egg diapause or parthenogenesis could be the cause of the two periodically different early instar recruitments. Total accumulated degree day of E. separigata was 2380 and 2668 at the upstream and midstream site, respectively, and that of E. strigata was 3220 at the downstream site. It was estimated that the egg hatching and average larval growth of E. separigata could be delayed to ca. 22 days and ca. 15 days, respectively, as the annual average water temperature drops to 1􀆆C. Ephemera separigata showed a cold adapted life history pattern, and more discussions on the intraspecific and interspecific life history adaptations were provided with other Korean and Japanese congeners.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Study area
    Developmental stages and degree daycalculation
RESULTS
    Daily water temperature
    Life cycle
    Larval growth
DISCUSSION
    Intraspecific life history adaptation
    Interspecific life history adaptation
ABSTRACT
저자
  • Lee Sung Jin(고려대학교 생물학과) | 이성진
  • Yeon Jae Bae(서울여자대학교 생물학과) | 배연재 Corresponding author
  • Il Byong Yoon(고려대학교 생물학과) | 윤일병
  • Naoshi C. Watanabe(Faculty of Agriculture, Kagaw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