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섬진강 중류 수역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과 부착조류 군집의 계절적 변화 KCI 등재

Seasonal Changes of the Phytoplankton and the Periphyton Community in the Mid Somjin Riv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3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섬진강 수계의 옥정호 하류 수역부터 임실군 남부의 적성면에 이르는 섬진강 중류 수역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환경요인,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현존량 및 부착 조류에 대한 조사를 1998년 8월부터 1999년 4월까지 5개 정점에서 실시하였다. 이화학적 환경요인 중 pH는 중성에서부터 약알카리성을 나타내었고,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137 종류이었으며 모든 정점에서 돌말류는 고르게 출현하였다. 조사 정점 중 하류수역인 정점 1 및 정점 2에서는 남조류 및 녹조류의 출현빈도가 높아 정점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출현한 돌말류는 대부분이 막대 모양의 깃돌말류였다. 계절별로는 동계에 적게 출현하였고 춘계 및 하계에 많이 출현하였으며 정점별로는 하류 정점으로 갈수록 출현종류 수가 증가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1998년 8월에 정점 3의 15,100 cells/l이 최저였으며 1999년 4월 정점 4의 1,771,700 cells/l이 최대였다. 정점별 현존량 변이는 정점 1 및 정점 2 에서와 정점 3, 정점 4 및 정점 5에서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Cymbella minuta가 모든 정점에서 최고의 점유율을 나타내었으며 이외에 Cymbella affinis, C. silesiaca, C. turgidula, Fragilaria fragilarioides, Navicula cryptocephala, Nitzschia frustulum, N. sp. 1 등이 주요 우점종으로 출현하 였다. 부착조류는 106 종류가 출현하였으며, 돌말류의 출현 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출현종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과는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출현종류 수는 비교적 사계절 고르게 출현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상황과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및 부착조류 중 각각의 돌말류를 대상으로 Van Dam et al. (1994)의 Ecological indicator values를 적용시켜본 결과, 본 조사 수역의 수질 오염정도는 β-중부수성을 나타내었으며, 영양상태는 중-부영양과 부영양 사이 단계 및 부영양에 근접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부유돌말류 및 부착돌말류의 출현에 따른 Ecological indicator values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Seasonal changes of the phytoplankton and the periphyton community were investigated from August 1998 to April 1999 at five stations in the Mid Somjin River. The species numbers of phytoplankton were 137 spp. Of those, the diatoms were present at all stations but the green algae and the bluegreen algae were present at Station 1 and Station 2 more frequently than the other stations. The species number increased with flowing downward. The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varied from 15,100 cells/l at Station 3 in August 1998 to 1,771,700 cells/l at Station 4 in April 1999. The seasonal variation patterns of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were different among stations as well as the pattern of presence. The dominant species were as follows: Cymbella affinis, C. minuta, C. silesiaca, C. turgidula, Fragilaria fragilarioides, Navicula cryptocephala, Nitzschia frustulum and Nitzschia sp. 1. Of those, Cymbella minuta showed the highest rate of occupation in the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at all stations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s. The species numbers of periphyton were 106 spp. Among those, the diatoms of the periphyton community were observed frequently rather than thos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The ecological indicator values showed β-mesosaprobous in saprobity and mesoeutraphentic or close to eutraphentic in trophic state. There were not som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ecological indicator values by phytoplanktonic diatoms and periphytic diatoms.

목차
서 론
조사대상지의 개요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1. 이화학적 환경요인
    2.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현존량
    3. 부착조류의 종조성
적 요
참 고 문 헌
저자
  • 이경(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부) | Lee Kyung (School of Life Scienc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윤숙경(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부) | Sook-Kyung Yoon (School of Life Scienc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