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망태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베타글루칸 및 아미노산 함량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β-glucan, and amino acid contents of Phallus indusiatu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8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망태버섯의 성숙한 자실체(fruiting body)와 균모와 자루가 돌출하기 전의 에그(egg)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 중에서 항산화 활성과 베타글루칸 함량, 아미노산 성분함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조방법 별로 열풍 건조한 시료와 동결 건조한 시료의 열수추출물을 이용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망태버섯의 에그의 열풍건조 후 열수추출물 1 mg/ml 농도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각각 59.4%와 15.6%로 자실체 추출물 시료에 비하여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도 역시 망태버섯 에그의 열풍건조 시료의 열수추출물에서 8.25 mg GAE/g의 함량치를 가장 높았다. 망태버섯 에그의 열풍건조 시료의 베타글루칸 함량은 45.9%로 나타나 자실체 및 동결건조 시료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자실체와 에그의 건조시료로부터 총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망태버섯 에그 건조 시료 대부분의 아미노산 성분함량이 자실체의 건조시료 함량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망태버섯 자실체와 에그에서 가장 높은 함량치를 보인 아미노산 성분은 비필수 아미노산인 시스테인(Cys)으로 에그에서는 205.6 mg/ kg의 함량치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높은 성분은 필수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Phe)과 비필수 아미노산인 글루탐산 (Glu) 이었다. 본 연구의 야생 식용버섯으로 잘 알려진 망태버섯의 건조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성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항산화와 관련된 생리활성은 열풍건조에 의한 건조시료로부터 추출하였을 경우 효능이 더 높았으며, 생리활성 및 영양성분 함량은 망태버섯의 자실체에 비하여 에그의 추출물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β-glucan contents of hot-water extracts of the eggs and fruiting bodies of Phallus indusiatus were investigated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and the amino acid contents as nutritional components of the eggs and fruiting bodies of P. indusiatus were analyzed. DPPH radical scavenging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of the eggs of P. indusiatus obtained after hot-air drying were 59.4% and 15.6%, respectively, at 1 mg/ml concentrations, which showed higher activities than those of freeze dried samples. Total polyphenol and β-glucan contents in hot-air-dried hot-water extracts of the eggs of P. indusiatus were 8.25 mg GAE/g and 45.9%, respectively, which were the highest among all samples. Additionally, 17 amino acids were detected from the hot-water extracts of the eggs and fruiting bodies of P. indusiatus, and the amino acid contents were higher in the eggs than in the fruiting bodies. Cysteine, phenylalanine, and glutamic acid were the most abundant essential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in the analyzed extra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antioxidants from P. indusiatus, well known as wild edible mushroom, were greater when extracted from the dried samples. Further, the amino acid contents were higher in the egg extracts than in the extracts from the fruiting bodies of P. indusiatus.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야생 망태버섯 수집
    생리활성 분석용 시료 제조
    DPPH 라디컬 소거능(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아질산염 소거능(Nitrite-scavenging activity)
    총 폴리페놀 함량(Total polyphenol contents)
    베타글루칸 함량분석(β-glucan contents)
    아미노산 분석 시료조제
    HPLC에 의한 아미노산 성분 분석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망태버섯 자실체와 에그의 건조방법별 열수추출물의DPPH 라디컬 소거능
    망태버섯 자실체와 에그의 건조방법별 열수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망태버섯 자실체와 에그의 건조방법별 열수추출물의 총폴리페놀 함량
    망태버섯 자실체와 에그의 건조방법별 베타글루칸 함량
    망태버섯 자실체와 에그의 아미노산 성분 함량
적 요
REFERENCES
저자
  • 안기홍(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Gi-Hong An (Mushroom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조재한(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Jae-Han Cho (Mushroom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한재구(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 Jae-Gu Han (Mushroom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