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향쥐 (Ondatra zibethicus)의 정착 및 서식지 이용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ies on the establishment and characteristics of habitat use of muskrat (Ondatra zibethicus) in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8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본 연구는 침입종 사향쥐의 국내 자연생태계 정착 여부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관리전략 수립과 현장 관리에 필수적인 관리대상지역과 기초적인 행동특성 정보, 서식지 이용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의 사향쥐 관리 동향을 파악하여 정착 단계에 따른 관리 방향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내 72개 사육농가의 위치정보를 확보하였고, 실태조사를 통해 경기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세종특별자치시 소재 5개 지역을 자연 유출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동일 지점에 서식하는 개체를 모니터링하였다. 2018년 모니터링 지역에서 포획한 개체의 연령이 1.2년생으로 확인되었으며, 2012년 이후 해당지역에 추가적인 개체 보충이 없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국내 자연생태계에 사향쥐가 정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국내 자연에 정착한 사향쥐는 0.0027 km2 (MCP 95%)의 작은 행동권을 나타내었으며, 봄철과 가을철 규칙적인 이동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향쥐의 서식이 관찰된 지역은 서식환경의 교란이 높게 발생한 지역이었으며, 사향쥐의 흔적 출현 빈도는 부엽식물과 부유식물의 생육이 왕성한 개방수역과 개체의 은신처로 활용 가능한 습생목본 식생유형에서 높게 확인되어 이들의 생태적 특성과 섭식 습성이 그대로 반영되었다. 국제적인 침입종 사향쥐가 국내 생태계에 정착하였고, 향후 확산이 우려되는 만큼 정부 차원의 선제적 대응과 과학적 관리를 위한 필수 자료 구축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invasive muskrats settle in the natural ecosystem of Korea. The study also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election of target areas, basic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habitat use-related data, all of which are essential for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establishment and site management. To this end, a trend in international muskrat management was identified to examine the manag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ttlement stage. We also secured the location of 72 domestic farmers and classified five regions in Gyeonggido, Chungcheongnam-do, Gyeongsangbuk-do, and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into regions with high potential for natural leakage to raise the need for a quick survey. We determined that muskrats successfully settled in the natural ecosystem of Korea, based on the fact that we consistently identified a muskrat habitat at the same point for three years, from 2016 to 2018, the age of the captured population was estimated to be 1.2 years, and there had been no additional make-up factors near the habitat since 2012. The muskrats that settled in Korea showed a small home range of 0.0027 km2 (MCP 95%) and were estimated to show regular mobility before Spring and Autumn. Also, the areas where the muskrat habitat was observed had a high level of habitat environment disturbance and their ecological and food intake characteristics reflected that disturbance. Muskrat traces were high in hydrophyte vegetation, which can be used as a hideout in open waters and where the growth of both floating leaved plants and floating plants are prevalent. Since international invasive muskrats have already settled in the domestic ecosystem and there is concern about their proliferation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must consider a preemptive response and scientific management.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한국 도입 사향쥐 현황 조사
    2. 국내 출현 개체 조사
    3. 사향쥐 모니터링 지역 서식지 이용 현황 조사
결과 및 고찰
    1. 사향쥐 도입과 관리 현황
    2. 자연생태계 정착 및 행동권
    3. 서식지 이용 특성
적 요
REFERENCES
저자
  • 김영채(국립생태원 외래생물연구팀) | Young-Chae Kim (Invasive Alien Research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홍선희(한경대학교 식물생명환경과학과) | Sun Hee Hong (Department of Plant Life Scienc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이창우(국립생태원 외래생물연구팀) | Changwoo Lee (Invasive Alien Research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김아름(국립생태원 외래생물연구팀) | Areum Kim (Invasive Alien Research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박희복(강원대학교 야생동물학연구실) | Heebok Park (Wildlife Research Lab,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박수곤(국립생태원 외래생물연구팀) | Su-Gon Park (Invasive Alien Research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김민한(국립생태원 외래생물연구팀) | Minhan Kim (Invasive Alien Research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이도훈(국립생태원 외래생물연구팀) | Do-Hun Lee (Invasive Alien Research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