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Global Planting Status of Korean Hibiscus (Hibiscus syriacus L.) as a Garden Plant KCI 등재

무궁화(Hibiscus syriacus L.)의 세계 식재 분포 현황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9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무궁화를 정원식물로 가꾸고 있는 세계 각국의 식재 현황과 노지재배가 가능한 식재한계지대를 구명하기 위하여 현지답사와 전문가 탐문, Georeferencer service, 각국의 주요식물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각종 문헌과 현지 사진분석 등을 종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고도에서 자라고 있는 무궁화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해발 710m 지점이었고 지금까지 확인된 가장 고위도 지역의 무궁화는 북한의 평양에 식재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무궁화의 원산지로 추정되고 있는 아시아대륙의 식재 한계선은 Shandongsheng(山東省)의 Qindao(靑島), Jinan(濟南), Hebeisheng(河北省)에 있는 Beijing (北京), Shanshusheng(山西省)의 Xian(西安), Hanzhong (漢中), Sichuansheng(泗川省)의 Shengtu(成都), Yunnamsheng (雲南 省)의 Lijiang(麗江), Baoshan(保山), Jinghong(景洪)을 잇는 선의 동쪽이었고 Quangdongsheng(廣東省)의 Taishan(臺山), Hongkong (香港), Zhejiiangsheng(浙江省)의 Ningbo(宁波)를 잇는 선이었다. 대륙의 동해안쪽은 Taiwan(臺灣) 남쪽 끝의 Kaoshung(高雄), 북쪽의 Taipei(臺北), 일본의 Shendai(仙臺)와 북해도를 잇는 선이었다. 3. Europe 대륙에서 가장 북쪽 끝 부분에서 자라는 무궁화는 Sweden의 Stockholm에 식재되어 있는 것으로서 정확한 위치는 북위 58.4도, 동경 18.0도 지점이었고 서유럽의 경우에는 Portugal의 Lisboa와 Spain의 Valencia, 서남유럽에서는 Greece의 Agion Oros(40.5N, 24.3E)이었다. 4. 중동지역에서는 Syria의 Palmyra (35.0N, 38.5E)와 Israel의 Jerusalem(31.4N, 35.1E), 지중해 연안에는 Slovenia에서 Albania까지 식재되어 있으며 서남아시아 지역에서는 Azerbaijan과 Geogia 그리고 Armenia 등 Cocasus지 방에서 재배되고 있었다. 5. 북아메리카 지역에서는 Canada의 Vancouver에서 Colorado주의 Denver, Kansas주의 Kansas city, Illinois주의 Chicago, Michigan주의 Detroit, New York 주의 Swego와 Burlington, Messachusetts주의 Boston을 잇는 선의 남쪽이었는데 Canada의 Toronto에서도 생육이 잘 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중남미에는 Mexico, Cuba, Haiti, Pueto Rico, 남아메리카 대륙에서는 Argentina의 Olavarria(36.9S, 60.3W)에 심겨진 것이 가장 남쪽지역에서 자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6. Australia에서는 Melbourne으로부터 Gold Coast까지, 그리고 New Zealand에서는 Auckland와 Wellington에 심겨져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Africa 대륙에서는 South Africa의 Johannesburg(26.6S, 27.4E)에 심겨져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Africa지역은 앞으로 좀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o identify the current planting status of Mugunghwa (Korean Hibiscus, Hibiscus syriacus L.) around the world as a garden plant and the planting marginal area, we have collected the big data from the field research, expert exploration, georeferencing, surveys conducted by major botanical gardens in each country, and analyzed various literature with local photo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1. Mugunghwa which currently grows at the highest altitude in South Korea, is located at 710 meters above sea level in Jinbu-myeon, Pyeongchang-gun, Gangwon Province. The region with the highest latitude for cultivation of Mugunghwa has been identified as Pyongyang in North Korea. 2. The limit for planting Mugunghwa in the Asian continent, which is presumed to be the origin of Mugunghwa, lies to the east side of the line linking Qindao (靑島) in Shandongsheng (山東省), Jinan (濟南), Beijing (北京) in Hebeisheng (河北省), Xian (西安) in Shanshusheng (山西省), Hanzhong (漢中), Shengtu (成都) in Sichuansheng (泗川省), Lijiang (麗江) in Yunnamsheng (雲南省), Baoshan (保山), and Jinghong (景洪). In addition, the planting limit is within the line connecting Taishan (臺山) in Quangdongsheng (廣東省), Hongkong (香港), and Ningbo (宁波) in Zhejiiangsheng (浙江省). The planting limit of the coast lies on the line between Kaoshung (高雄) at the southern end of Taiwan (臺灣), Taipei (臺北) at the north of Taiwan, and Shendai (Japan) and Hokkaido. 3. Mugunghwa that grows on the northernmost region of the European continent is planted in Stockholm, Sweden, with an exact location of 58.4 degrees north latitude and 18.0 degrees east longitude. In Western Europe, Lisboa in Portugal and Valencia in Spain are the limits. In Southwestern Europe, Mugunghwa has been found in Agion Oros (40.5 N, 24.3 E) in Greece. 4. In the Middle East, Mugunghwa is cultivated in Palmyra (35.0 N, 38.5 E) in Syria and Jerusalem (31.4 N, 35.1 E) in Israel. It also grows from Slovenia to Albania on the Mediterranean coast and Azerbaijan, Geogia and Armenia in the Caucasus region in Southwest Asia. 5. In North America, the limit for planting Mugunghwa is the southern part of the line between Vancouver in Canada, Denver in Colorado, Kansas City in Kansas, Chicago in Illinois, Detroit in Michigan, Swego and Burlington in New York, and Boston in Massachusetts. It has also been confirmed that Mugunghwa has grown well in Toronto, Canada. In addition, Mexico, Cuba, Haiti, and Puerto Rico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and Olavarria (36.9 S, 60.3 W) in Argentina in South America are the southernmost cultivation limits. 6. We have identified that Mugunghwa is planted in Auckland and Wellington in New Zealand and from Melbourne to Gold Coast in Australia. In Africa, Mugunhwa is planted in Johannesburg (26.6 S, 27.4 E) in South Africa, and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region.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6대주 식재 한계지 조사결과
    내한성의 검토
    내서성의 검토
초 록
References
저자
  • Jong Suk Lee(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이종석 Corresponding author
  • Sae Mi Yoon(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윤새미
  • Jae-Hyeun Kim(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김재현
  • Ji Yeon Sim(국립수목원 정원연구센터) | 심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