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피드백 증감이 시간타이밍 학습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Faded and Increased Feedback in a Temporal Timing Lear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97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이 연구는 피드백 증감에 따른 시간타이밍 학습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학생 30명을 점감 피드백 집단과 점증 피드백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로 15명씩 나누어 컴퓨터 모니터에 제시되는 시간 타이밍 목표 과제를 본 후, 최대한 정확하게 목표 과제와 일치하는 자판 누리기 과제를 수행하게 하였다. 사전 검사, 습득 단계, 파지 및 전이 검사를 수행하였고, 모든 수행에 대해 상대적 타이밍 오차와 절대적 타이밍 오차를 산출하였다. 결과: 사전 검사에서 점감 피드백 집단과 점증 피드백 집단은 유사한 시간 타이밍 수행을 보였다. 습득 단계에서는 분단에 따른 상대적 타이밍 오차와 절대적 타이밍 오차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집단에 있어서는 상대적 타이밍 오차만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파지 및 전이 단계에서는 집단에 따른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전이 분단 간 절대적 타이밍 오차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점감 피드백 또는 점증 피드백 제시에 따라 상대적 타이밍 수행 변화를 다르게 발생시킬 수 있지만 시간 타이밍 학습에 있어서는 유사한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습 상황과 목표에 따라 점감 피드백 또는 점증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학습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ded and increased feedback in a temporal timing learning. Methods: College students (N=30) were assigned to one of two feedback types randomly, which differed in feedback type (faded vs. increased). The experimental task was to depress the keys on the keyboard for producing the goal pattern as closely as possible. This experiment consisted of pre-test, acquisition stage, retention test, and transfer test. The relative timing error and the absolute timing error as dependent variables were acquired for all trials. Results: Pre-test showed that the faded and increased group had a similar temporal timing performance before doing acquisition session. At acquisition session, the analysis on relative timing error and absolute timing error indicated main effects of block. The analysis, however, on only relative timing error showed main effect of group. The analysis of retention or transfer test didn’t indicate main effects of group. However, the analysis of absolute timing error on transfer test indicated main effect of block. Conclusion: This results showed a change in the relative timing performance on the faded or the increased feedback, but temporal timing learning produced a similar result. Thus, learning strategies, which utilize faded or increased feedback effectively, might be required depending on the learning circumstances and the goal of task.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자
    2. 실험 도구 및 과제
    3. 실험 절차
    4. 자료 및 통계 분석
Ⅲ. 연구 결과
    1. 상대적 타이밍 오차
    2. 절대적 타이밍 오차
Ⅳ. 논 의
참고문헌
저자
  • 고지현(한양대학교) | Ji-Hyun Ko (Hanyang University)
  • 고봄나(East Carolina University) | Bomna Ko
  • 한동욱(전북대학교) | Dong-Wook Ha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