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ongjang of Samcheok and the Suto of Ullengdo
울릉도 수토에서 삼척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 크게 두 가지를 검토하였다. 첫째는 삼척영장의 신설과 그 변천과정에 대해서 기존의 논문 성과와 승정원일기를 추가하여 고찰하였다. 1673년(현종 12)에 삼척영 장은 전임영장이 아닌 겸임영장으로 신설되었고, 삼척첨사가 영장을 겸직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 후 1673년(현종 14)부터 삼척영장은 토포사를 겸임하였고, 1694 년(숙종 20)부터는 월송만호와 함께 울릉도 수토를 겸하였다. 하지만 영장은 정3품이고, 첨사는 종3품이기 때문에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 사이에는 삼척영장이 삼척포진 主將의 本職이 되고, 삼척첨사는 겸직으로 바뀌었다. 이로써 삼척영장은 삼척첨사가 겸임하던 겸영장에서 전담 무신이 파견되는 전 임영장으로 전환되었다. 그리고 1799년(정조 23)에 삼척포진 주장의 공식적인 직함은 三陟營將 兼三陟鎭右營將 討捕使 三陟浦鎭水軍僉節制使로 정해졌다. 두 번째로는 삼척영장 중에 울릉도에 직접 다녀온 인원을 선별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장한상이 1694년 삼척첨사로써 울릉도를 수토한 것이 수토의 시초라고 한 것과 달리 필자는 1613년 김연성이 삼척영장으로써 처음 수토를 시행하였음을 밝혔다. 즉, 삼척영장의 울릉도 수토는 1613년 김연성부터 1881년 남준희까지 약 260년간 지속되었다. 삼척은 1882년 이규원이 검찰사로 울릉도에 가기 전까지 울릉도 수토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삼척영장은 총 25회의 울릉도 수토 를 하였고, 그 중 10회에 대해서는 수토의 날짜와 출항지 및 도착지까지 알 수 있는 기록이 현전한다. 그동안 수토에 관한 연구는 주기와 횟수에 대해서 집중되어 있었다. 수토의 주기는 3년에 한 번씩에서 2년에 한번으로 변화하다 나중에는 매년 수토를 하는 것으로 그 변화한다. 하지만 살펴본 3년, 2년, 매년 수토의 주기성 또한 수토가 흉년으로 인해서 정지된 점이 많고, 채삼군으로 인해서 시기도 4~5월에서 6~7월로 달라지기도 했 기 때문에 주기가 변동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19세기 말의 수토의 경우 간년 수토가 지켜지지 않을뿐더러 월송만호와 평해군수가 가는 것으로 기존의 삼척영장과 월송만호가 윤회입송하는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주기에 대해서 집중하는 것보다 수토자료를 확보하여 입체감이 있는 수토사의 복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
Samcheok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uto of Ulleungdo. Therefore, two things were greatly reviewed in this paper. First, the new Samcheok warrant and its transformation process were reviewed by adding exitiong paper and Seungjeongwon diary. Yeongjang of Samcheok was established in 1672. at the time of the fountation Yeongjang of Smacheok was Yeongjang not sole charge but concurrently held by Cheomsa of Samcheok. Later, Yeongjang of Smacheok held Toposa of the Yeongdong area in 1673. However between the late 17th century and the early 18th century, Yeongjang of Smacheok became the main position of Smacheok Pojin Commander and Cheomsa of Samcheok became an additional position. by this Yeongjang of Smacheok became Yeongjang in sole charge to which a militaty official was dispatched. and in 1799, the official title of Smacheokpojin was Smacheok Second, we selected the number of peple who visited Ulleungdo among the Yeongjang of Samcheok. Unlike the previous research, which stated that the first time was when Jang Han-Sang made a confession on ulleung island in 1694 as the first time, I found out that Kim Yeon-seong was the first to vomit as a Yeongjang of Samcheok in 1613. In other words, the Sutto of Ulleungdo under the Yeongjang of Samcheok lasted for about 260 years from Kim Yeon-seongin 1613 to Nam Jun-Hee in 1881. In total, Yeongjang of Samcheok vomited 25times, 10 of them are known to date and place of departure and arrival. until now, the study on Suto has focused on the number of cycles and frequency. The Suto cycle changes from once every three years to once every two years, and later to vomiting every year. However, the periodicity of Suto was also cancelled due to poor harvest and the cycle was change due to ginseng harvesting. in addition, the existing Yeongjang of Smacheok and wolsong manho took turns in the late 19th century as Pyeonghaegunsu wen to the suto. therefore, I think it is more necessary to restore the suto system to secure more data than to concentrate on the cy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