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는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는 1년생 박과 채소로 혈당조절 등의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여주는 자웅동주이화 식물로 인공수분이 필요하고 온도나 일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개화특성 때문에 안정적인 수량 확보가 어려운 경향이 있다. 평균적으로 암꽃과 수꽃의 착생 비율은 1:25 정도이나 생육 초기 단일조건에서는 암꽃 발생이 많아 인공수분이 어렵다. 이 연구는 암꽃 비율이 높아지는 시기에 환경 조건과 관계없이 화분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자 화분 활력 및 저장성 검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화분을 채취하여 상온(25℃), 냉장(4℃), 냉동(-20℃), 초저온냉동(-70℃)조건에서 180일간 저장하여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상온에서는 저장 3일 경과 후 급격히 감소하였고 초저온냉동저장(-70℃)에서 발아율이 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화분의 활력도 발아율과 같이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초저온냉동저장(-70℃) 화분은 69%로 개화당일 화분의 74%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저장한 화분으로 인공수분한 결과 결실률도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상품과 평균과중은 처리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이는 저장온도가 화분의 생존율과 결실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어 여주의 안정적인 수량 확보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화분 공급 체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itter gourd(Momordica charantia L.) was mainly cultivated in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and used as traditional medicines for blood sugar reduction. Because of these medical activities, cultivation area increased, but fruit production was not uniform due to flowering habits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photoperiod. Bitter gourd is monoecious and artificially pollinated by bees or hands. The average ratio of male to female flowers is about 25:1 and the ratio is affected by photoperiod. The female flowers bloom up under short photoperiod of early development stage and pollen deposits are important for fruit produc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pollen longevity. The longevity of pollen was tested for 180 days a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i. e., room temperature, 4℃, -20℃ and -70℃. Their viability lost relatively rapidly at room temperature and the rate of germination was 30% at -70℃ storage pollen. The viability of pollen was also examined at four pollen storage temperature conditions, 25℃, 4℃, -20℃ and -70℃. When pollen was stored at –70℃, viability and pollination rate was maintained similar level as fresh polle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temperature affected pollen viability and fertilization significantly and apply to effective pollen supply system for Bitter gourd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