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진생베리 발효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 KCI 등재

Study on Cosmeceutical Activities from Fermented Ginseng Berry Extra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6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진생베리는 진세노사이드 Re을 다량함유하고 있고 항염, 항암, 혈당강하 및 미백효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Rhizopus Oligosporus 균주를 이용하여 진생베리 발효공정을 확립하였으며 진생베리 발효 물에 대한 화장품 약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발효에 의한 인삼 베리 추출물의 전자 공여 능력은 1,000 μ g/mL 농도에서 81 %를 나타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1,000 μg/mL 농도에서 100.2% 효과를 나타내었다. 피부 미백과 관련된 티로시나 아제 억제 효과는 1,000 μg /mL 농도에서 57%였다. 피부 주름과 관련된 엘라스타제 억제효과는 1,000 μg/mL 농도에서 47%였다. 또한, 콜라게나제 억제 효과는 1,000 μ g/mL 농도에서 33%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진생베리 발효물이 항염과 미백, 주름개선 효능을 가진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진생베리 발효물이 향우 항염 및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 으로 판단된다.

Ginseng berry contains a large amount of Ginsenoside Re and has anti-inflammatory, anticancer, hypoglycemic and whitening effects. In this study, Rhizopus Oligosporus strain was used to establish ginseng berry fermentation process and cosmetic pharmacological activity of ginseng berry fermented product was analyzed..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ginseng berry extract by fermentation shown 81% at 1,000 μg/mL concentration.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shown 100.2% at 1,000 μg/mL concentration.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which is related to skin-whitening, was 57% at the concentration of 1,000 μg/mL. The elastase inhibitory effect which is related to skin-wrinkle, was 47% at 1,000 μg/mL concentration. Also, the collagenase inhibition effect was 33% at 1,000 μg/mL concentration. From these results, ginseng berry extracts by fermentation is considered to have anti-inflammatory, anti-wrinkle effect and whitening effect. Therefor, ginseng berry fermented product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as an anti-inflammatory and anti-aging cosmetic raw material.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실 험
    2.1. 공시 재료 및 발효공정
    2.2. 진생베리 발효추출물의 생리활성 분석
    2.3. 통계처리
3. 결과 및 고찰
    3.1.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3.2. 전자공여능 측정
    3.3.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
    3.4.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3.5. Tyrosinase 저해활성능
    3.6. Elastase 저해활성
    3.7. Collagenase 저해활성
    3.8. Astringent 활성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일출(중부대학교 바이오융합학부 바이오화장품전공) | Il-Chool Kim (Division of Intergrated Biotechnology, Depart of BioCosmatic Science, Joongb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