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뮤지션의 음악연습실 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KCI 등재후보

A Study on the Design of Music studio preference profile for The Musici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7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중음악콘텐츠 (Popular music contents society)
대중음악콘텐츠학회 (Popular Music Contents Society)
초록

국내의 많은 음악예술가들은 연습실, 음악 작업실과 같은 창작공간에서 완성된 작품으로 대중과의 소통을 시도하고, 음악을 재해석하며 재발견 해나가는 공간으로서 활용가치가 높다. 본 연구는 뮤지션 또는 예술가의 눈높이에 맞춘 창작공간의 표준화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선호 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시작하였다. 마케팅, 경영, 비즈니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용한 분석법인 컨조인트 분석을 위한 프로파일의 기준이 되며, 또한 컨조인트 분석법에 맞춘 설문지 작성에 기준이 되는 연구 자료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의 많은 창작공간뿐 아니라 예술가 성장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 교육, 네트워킹과 같은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는 창작소에도 적용한다면 예술가의 눈높이에 맞춘 가치 있는 공간으로 완성될 수 있는 음악 정책 연구에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결론을 가지고 있다.

Many music artists in Korea try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rough finished works in creative spaces such as practice rooms and music studios. The studio has high utilization value as a space for rediscovering and rediscovering music. Therefore, this study is a musician or an artist, center focused on eye level of standardization of Preference Attributes for models to identify. It serves as the basis for the profile for Conjoint Analysis, a useful analysis that is widely used in marketing, management, and business.It is the study data that is the basis for the preparation of questionnaires according to the Conjoint Analysis Method.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many creative spaces in the country, but also to creative centers where programs such as various support projects, education and networking can be planned for the growth of artists. In this study, completed required to meet the artist's expectation value into a space that can pave the way the music for Policy Studies.

목차
요약
Abstract
I. 서 론
II. 본 론
    1. 창작공간
    2. 지불용의(Willingness to pay:WTP)의 개념과 측정방법
    3. 연구설계 및 자료수집
III. 결 론
참 고 문 헌
저자
  • 한재원(무브먼트제너레이션) | Jaewon 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