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핑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관한 횡단적 분석 KCI 등재

Cross-sectional analysis on recreation specialization of surfing participa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24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서핑 참여자를 대상으로 입문과정에서부터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형성되는 과정을 횡단적으로 분석하여 국내에서 생소한 서핑이라는 여가활동을 소개하고 국내의 서핑참여자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참여자 각 개인이 서핑을 통해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관한 경험을 세밀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문화기술지를 통해 참여자가 서핑을 즐기게 되면서 바뀌는 일상과 문화 행위패턴을 파악하면서 서핑을 통해 변화되는 삶의 의미를 도출하려고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 표집법을 활용하여 11월~3월 진행되는 겨울 서핑캠프에 연구자가 참여해 10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심층 인터뷰 데이터 분석을 통해 총 531개의 개념적 단어를 식별하고 첫 번째 분류를 설정하였다. 둘째, 서핑 참가자들은 처음 서핑을 하기 전에도 서핑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셋째, 서핑 참가자들은 여가제약을 경험하고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에 도달하기 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넷째, 서핑 참가자들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서핑 참가자들은 삶의 변화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신체 훈련, 서핑 기술 향상, 자신의 비디오 분석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열심히 일하면서 서핑을 더 즐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urfing which is not a familiar leisure activity in Korea and provide understanding of surfing participants through the cross-sectional analysis on the process of forming recreational specialization from introductory levels with enthusiastic surfing participants. This study employs a qualitative approach to analyze each participant’s experience on recreation specialization in detail, and in particular uses ethnographic research methods to derive participants’ meaning of life and daily routines and cultural behavioral patterns changed through surfing.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data, total 531 conceptual words were identified and the first categorization was established. Second, surfing participants mentioned that they had high expectations of surfing even before they first encountered it. Third, surfing participants noted that they experienced leisure constraints and made efforts to resolve this issue before reaching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process. Fourth, surfing participants were found to go through a recreation specialization process. Fifth, surfing participants were found to undergo life changes. They worked hard in their everyday life through physical training, improvement of surfing skills, and analysis of their own videos to be better at surfing.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 과
4. 논 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염상근(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Yeom Sang-geun (Department of Dan Kook University)
  • 강현욱(단국대학교 생활체육학과) | Hyun-Wook Kang (Department of Dan Koo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