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 유형별 청색광 차단 렌즈의 광 투과율 특성 분석
목적 : 본 연구는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재질 방식으로 제작된 청색광 차단 렌즈의 광 투과율을 측정하여 특 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 상측정점굴절력이 0.00 D인 일반 코팅 렌즈(CCL), 재질 방식의 청색광 차단 렌즈(BML)를 굴절률 1.56, 1.60 및 1.67, 코팅 방식의 청색광 차단 렌즈(BCLa, BCLb) 및 착색 방식의 청색광 차단 렌즈(BTL)를 굴절률 1.60 으로 각각 수집하여 광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 BML은 굴절률이 증가할수록 광 투과율 및 분포 면적이 감소 후 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0). 또한, BML의 청색광 차단 효과는 CCL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제조 방식인 BTL, BCLa 및 BCLb 보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재질 방식의 청색광 차단 렌즈를 권유함에 있어서, 착용에 보다 적합한 대상의 선별 및 사용 디스플레이 조건을 모두 고려하는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ue light blocking lens manufactured by the material method currently used in clinical practice, by measuring its light transmittance.
Methods : The conventional coating lens (CCL) and the material type blue light block lens (BML) with refractive index of 1.56, 1.60, and 1.67 and the coating type blue light blocking lens (BCLa, BCLb) and tinting type blue light blocking lens (BTL) with refractive index of 1.60 were collected respectively to measure the light transmittance. A back vertex refractive power of all the lenses was 0.00 D.
Results : Both light transmittance and distribution area of BML first decreased, the started to increase as refractive index increase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p>0.050). BML’s efficiency in blue light blocking was higher than CCL but lower than the others with different manufacturing types including BTL, BCLa, and BCLb.
Conclusion : Before recommending the blue light lens with material method, precise consulting is required to comprehend a subject’s individual condition while wea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