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wadeable stream (1차~4차 하천)을 대상으로 보의 유·무에 따른 어류군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하천의 규모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하천차수로 구분 하여 보의 유·무가 어류군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으며, 3차와 4차 하천에서 어류군집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P<0.005, PERMANOVA). 보의 유·무에 따라 총 출현 종수, 총 출현 개체수, 종 풍부도와 같은 요인들이 차이를 나타냈으며, 외래종, 고유종, 보호종 개체수의 경우 차이를 나타 내지 않았다. SIMPER 분석을 통해서 어류군집 차이에 주로 기여하는 종을 분석한 결과 해당 차수의 하천에 우점적으로 나타나는 피라미 (Zacco platypus), 참갈겨니 (Zacco koreanus), 돌고기 (Pungtungia herzi)와 같은 보편종으로 확인되었다 (contribution>5%). 이들 종은 모두 보가 있는 지점에 서 평균 상대풍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보로 인해 변화된 환경이 이들 종에 대해서 주요 서식처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전국 범위에서 보가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경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보의 관리를 위한 연구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eirs on fish assemblages in wadeable streams (Stream order 1st~4th). More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these effects by evaluating the differences in stream size. The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 fish assemblages in third or higher order streams (PERMANOVA, P<0.005). The presence or absence of weirs mainly affected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species the individuals, and species richness index, whereas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populations of exotic, endemic, and endangered species. A SIMPER analysis showed that the common species Zacco platypus, Zacco koreanus, and Pungtungia herzi are dominant in their corresponding streams (contribution>5%), and that these are the main contributors to differences among the fish assemblages. All these species showed high relative abundances at the sites with weirs. Altered environments by the presence of weirs provided these species with concentrated habitats. In summar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weirs on fish assemblages on a broad, nationwide, scale, and these results can effectively aid future studies on the specific effects of wei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