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성인의 금융 지식 수준과 결정 요인

Financial Knowledge of Korean Adults and Its Determina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55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금융교육연구 (Journal of Financial Education)
한국금융교육학회 (Korea Association of Financial Education)
초록

우리나라 성인이 일상생활에 필요한 금융 지식을 충분히 지니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KB금융공익재단이 2016년에 실시한 전 국민 경제 이해력 조사 자료를 활 용하였다.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 지식 수준은 평균 66.2점이었다. 측정 문항별로 구분해서 살펴보면 이자율이 인상될 때 이득을 보는 사람을 옳게 구분하는 응답자 가 전체의 4분의 3이었으며, 임금이 소득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 실을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는 84%에 이르렀다. 주식시장이 거래의 효율성을 제고 하는 역할을 한다는 시장의 기능을 이해하고 있는 응답자는 58%에 머물렀으며, 화 폐의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응답자는 절반에 미치지 못하였다. 개인의 금융 지식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을 구분할 때, 남자, 40∼64세 성인, 서울/인천/경기 지역 거주자, 대학 재학 이상의 고학력자, 중간 이상의 소득자가 그 렇지 않은 사람보다 상위 집단에 해당할 가능성이 훨씬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에 경제교육 경험, 자신의 재산 상태에 대한 만족 정도 같은 요인은 상위 집단 에 해당할 가능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지 못했다. 금융 지식 수준이 전반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평가 결과, 경제교육 경험이 금융 지식 수준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추정 결과 등을 종합할 때 성인 대상 금융교육을 확대하되, 획일화 되고 천편일률적인 공급자 중심의 교육보다는 교육 대상자의 특성과 취약점을 고려 하는 맞춤형,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In order to understand whether Korean adults have enough financial knowledge for everyday life, this study employed The National Economic Literacy Survey data conducted by the KB Financial Group. The results shows that the average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was 66.2. Three-quarters of the respondents correctly identified the beneficiaries when the interest rate was raised, and 84% of respondents were aware that wages account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ir income. On the other hand, only 58% of respondents understood that the stock market plays a role in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transactions, only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roles of money. If we distinguish higher and lower groups based on individual’s knowledge scores, it is estimated that male, 40-64 year old, residents of Seoul / Incheon / Gyeonggi area, the highly educated, middle and higher income earners are much more likely to be a higher group. On the other hand, economic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satisfaction with own property status do not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possibility of being a higher group.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조사 개요
1. 조사 설계
2. 표본의 사회 경제적 특성
Ⅲ. 문항 분석
1. 문항별 정답률
2. 개인 특성별 정답률 비교
Ⅳ. 개인 특성별 금융 지식 수준
Ⅴ. 금융 지식의 결정 요인 분석
1. 모형
2. 추정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한진수(경인교육대학교) | Hahn Jinsoo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