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Learning through game creation and game- career experience: A study of learners’ perceptions KCI 등재

게임형 코딩학습을 통한 게임 프로그래밍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변화 연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57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한국컴퓨터게임학회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산학 연구로 제작된 게임 에디터를 (Game Editor, MakersLab)을 활용하여 실제 게임을 제작하는 학습을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학습 플랫폼의 중요도와 이에 따른 학습자들의 프로그래밍, 게임의 플레이 및 제작에 대한 인식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게임 플레이에는 익숙하지만 프로그래밍과 게임제작에는 경험이 없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게임 에디터를 학습 플렛폼으로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교육 및 게임제작 관련 수업을 진행 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은 대부분 항목에서 '만족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고, 게임이 제작되어지는 과정에 대해 체험한 것에 대해 흥미로웠다는 의견을 주었다. 하지만, 게임 제작을 처음 경험하는 학습자들에게 게임 에디터 플랫폼은 복잡한 인터페이스 및 기능으로 인해 조작의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게임 플레이 후, 직접 게임을 기획과 제작을 수행하고, 타 학습자와 서로의 게임에 대해 논의하는 과정 등은 어렵다고만 생각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동기 부여와 흥미 유발을 위한 좋은 학습 재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본 연구에서는 확인 하였다.

In this study, we indicate the importance of learning platforms in software education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learners' perception of programming, game play and production through learning to produce real games using game editors (Game Editor, MarkersLab). After conducting programming education and game production-related classes using game editor as a learning platform,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for learners. Learners gave the opinion that "satisfied" was dominant in most items, and that it was interesting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the game being produce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planning and producing games and discussing each other's games with other learners can be used as a good learning material for motivating software education and inducing interest. However, research on the revision of learning platforms that are not suitable for learners and the curriculum where continuing interest and learning can be maintained in future programming and game production is essential.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1.1.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rogramming Education through Game Production
2. Main
    2.1. Development of a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2.2. Perception Analysis of Programming and Game Development
3. Conclusion 
Reference
<국문초록 >
<결론 및 향후 연구 >
저자
  • Na Young KIM(School of Games, Hongik University) | 김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