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선시대 어보의 자형 변천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Character’s Shape of the great seal in the Joseon Dynas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64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조선시대 어보는 종묘의 사직을 이어간다는 상징적인 인장으로 왕 실의 끊임없는 영속성과 번영 발전을 기원하고, 조선왕실의 신성한 비장품의 가치를 지닌 존숭의 대상이다. 이러한 어보 보문의 서사인 (書寫人)은 전문서사관(篆文書寫官)이나 당시의 종친이나 문화인이 맡았다. 인문의 새김과 주조장인(鑄造匠人)은 관영 수공업에 종사하던 인장(印匠)·옥장(玉匠)·숙피장(熟皮匠)·주장(鑄匠)·조각장(雕刻匠) 등의 장인이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상당히 완비되어 있는 인문(印文)은 연구자의 시야로 볼 때, 그 제 작과정에 아래와 같은 문화적 추형(雛形)이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첫째, 인문의 자형(字形)은 기본적으로 네모꼴이다. 둘째, 인면(印面) 이 대칭(對稱)이다. 셋째, 인문은 일종의 혼성(混成)된 미감을 갖고 있다. 보문(寶文) 자형의 변천과 특징을 살펴보면, 세종비소헌왕후금보 (110)에서 순조5년(1805) 영조비정순왕후금보(200)까지의 ‘소(昭)’자는 대체로 인면 장법에 따른 구첩전이거나 무전(繆篆)으로 새겨졌다. 그 러나 철종13년(1862) 순조금보(67)부터는 구첩전에서 벗어나 인전(印 篆)의 형태를 띠고 있다. 그리고 ‘헌(憲)’자는 세종비소헌왕후금보 (110)을 제외한 대부분이 구첩전(九疊篆)에서 벗어났다. 또한 ‘지(之)’ 자의 경우 숙종비인경왕후옥보(154)에서 선조비의인왕후금보(132)까 지는 구첩전 형태가 농후하다. 그러나 이후에는 서서히 구첩전에서 인전으로 바뀌었다. 또한 같은 년도에 제작된 동일한 글자인 ‘왕(王)’, ‘후(后)’, ‘지(之)’, ‘보(寶)’, ‘성(聖)’, ‘효(孝)’, ‘현(顯)’자를 보면, 동일한 글자라도 인면 장법상의 균형과 통일을 기하기 위하여 인면에 가득 차게 하는 구첩전이 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어보의 인문은 이체자가 대다수이다. 숙종9년(1683)과 고종9년 (1872)에 제작된 태조금보(5와 6)의 ‘강(康)’자, ‘헌(獻)’자, ‘성(聖)’자의 위 오른쪽 ‘입구(口)’ 등이다. 또한 숙종 7년(1681) 같은 해에 제작된 정종금보(7)와 정종비정안왕후금보(109)의 ‘의(懿)’, ‘온(溫)’, ‘왕(王)’, ‘지(之)’, ‘보(寶)’ 등도 이체자의 본보기이다. 더욱 이체자를 넘어 정종 비정안왕후금보의 ‘의(懿, )’자와 예종금조(10)의 <예종흠문성무의 인소효대왕지보> 의 지(之, )자는 오자가 아닌가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어보는 전서에서도 도식적인 구첩전을 쓰고 있다. 그러 나 고종(高宗), 순종(純宗) 이후부터 인문 자체가 서서히 구첩전에서 탈피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The great seal of the Joseon Dynasty is a symbolic seal that continues the resignation of Royal Ancestral Shrine. It is the object of respect for the royal family's continual permanence and prosperity and the value of the sacred treasures of the Joseon Dynasty. The narrative of the great seal was taken up by a professional scrivener or a kindred of the king or cultured person at the time. The engraving of stamp and the craftsmen of cast was found that the artisans who work for seal, jade, sukpi, and sculpture engaged in the state-owned handicrafts participated. If study the production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w culture of modern times about the fully equipped stamp,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the following cultural patterns. First, the form of stamp is basically a square. Second, the face of stamp is a symmetry. Third, the character of stamp has a kind of mixed sense of aesthetics and flow. Looking at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omun(寶文) shape, the ‘So(昭)’ characters from King Sejong to King Soonjo’s five-year(1805) generally follow the generally follow the human face law. It was written as Gucheobjeon(九疊篆) or as Mujeon (繆篆). However, from the 13th year of King Cheoljong(1862), from the Soonjokgeumbo(67), it has been in the form of Injeon(印篆), away from the Gucheobjeon(九疊篆). And most of the ‘Heon (憲)’ characters were excluded from the Gucheobjeon(九疊篆) except for Sejongbisoheon-Wanghugeumbo(110). In addition, in the case of ‘Ji(之)’, the form of conflation was rich from Sukjongbiingyeong-Wanghuogbo(154) to Seonjobiuiin-Wanghugeumbo(132). However, afterwards, it gradually changed from Gucheobjeon(九疊 篆) to Injeon(印篆). In addition, the same letters produced in the same year, If it was looked at the ‘King (王)’, ‘Hu (后)’, ‘Ji (之)’, ‘Bo (寶)’, ‘Sung (聖)’, ‘Hyo (孝)’ and ‘Hyun(顯)’, It can be seen that even the same letters were mainly used in Gucheobjeon(九疊篆) to fill the stamp face in order to maintain the balance and unity in the stamp face. The form of the great seal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variants. The character of ‘Gang(康)’, ‘Heon(獻)’, and ‘Gu(口)’ of the upper right of ‘Sung(聖)’ of Taejo Geumbo (5 and 6) produced in the 9th year of King Sukjong (1683) and the 9th year of King Gojong(1872). Also, the ‘Eui(懿)’, ‘On(溫)’, ‘Whang (王)’, ‘Ji(之)’, ‘Bo (寶)’ and etc. of Jeongjong-Gumbo(7) and Jeongjongbijeong-An-Wanghugeumbo(109) produced in the same year of the 7th year of Sukjong(1681) are also examples of transferees. Moreover, the characters of ‘Ui(懿, )’ of Jeongjongbijeong-An-W anghugeumboui and ‘Ji(之, )’ of Y e jo n g h e u m m u n s e o n g m u u iin s o h y o d a e w a n g jib o of Yejong-Geumjo(10) are misspelling. In general, the treat seal is also using a schematic Gucheobjeon (九疊篆). However, after Gojong and Soonjong, it was also found that the character of stamps themselves were gradually escaping from the Gucheobjeon(九疊篆).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기
Ⅱ. 전각의 발전과 어보
Ⅲ. 인문 자형의 변천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영철(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 Lee Youngcheol (Dongbang Cultur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