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선왕릉 정릉의 역사문화경관림 실태와 관리 방안 KCI 등재

Actual Condition and Management Plan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Forest of Jeongneung, Joseon Royal Tomb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71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조선왕릉 정릉의 역사문화경관림의 실태를 살펴보고 체계적인 보존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집약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은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신갈나무-팥배나무군락 65.47%, 소나무군락 11.85%, 소나무 식재림 6.41%로 분포하고 있다. 주요 식생 군락은 소나무군락, 팥배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소나무식재림, 잣나무식재림이다. 둘째, 여덟 곳의 자연림 방형구에서 흉고직경을 측정한 바, 주된 수종은 소나무, 신갈나무, 팥배나무였으며, 흉고직경의 최대 분포범위는 소나무 15-20cm, 신갈나무 10-15cm, 팥배나무 5-10cm이다. 셋째, 중점관리지역의 소나무림은 밀도가 높고 신갈나무-팥배나무와 매우 인접하고 있어 생육과 관리에 불리한 조건에 있다. 넷째, 역사문화경관림의 관리 방안으로 아까시나무와 같은 외래종을 소나무와 같은 재래종으로 대체하고 소나무림이 정릉 전역에 연결될 수 있도록 재식(栽植)하며, 밀도가 높은 지역은 솎아내기를 통해 생육에 적정한 공간을 확보한다. 봉분 주변의 소나무는 기울어져 자라고 있으므로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관리한다. 시각적 이질감을 나타내는 수목들은 정리가 필요하며, 경계부분은 기존의 낙엽활엽수와 어울릴 수 있도록 조정하고 완충공간을 10m 내외로 확보한다. 본 연구는 유사한 시대적 상황을 거친 여타 조선왕릉에 중요한 시사점을 전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개별 조선왕릉 역사 문화경관림의 실태를 살펴보고 합리적인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forests of Jeongneung Joseon Royal Tomb and to prepare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egetation is mainly occupied by Quercus 􀁐􀁒􀁑􀁊􀁒􀁏􀁌􀁆􀁄 and is distributed as 􀀴􀁘􀁈􀁕􀁆􀁘􀁖􀀃􀁐􀁒􀁑􀁊􀁒􀁏􀁌􀁆􀁄􀀐􀀶􀁒􀁕􀁅􀁘􀁖􀀃􀁄􀁏􀁑􀁌􀁉􀁒􀁏􀁌􀁄 65.47%, 􀀳􀁌􀁑􀁘􀁖􀀃􀁇􀁈􀁑􀁖􀁌􀃀􀁒􀁕􀁄 11.85%, and 􀀳􀁌􀁑􀁘􀁖􀀃􀁇􀁈􀁑􀁖􀁌􀁉􀁏􀁒􀁕􀁄 afforestation 6.41%. The main vegetation communities are 􀀳􀁌􀁑􀁘􀁖􀀃􀁇􀁈􀁑􀁖􀁌􀁉􀁏􀁒􀁕􀁄, 􀀶􀁒􀁕􀁅􀁘􀁖􀀃􀁄􀁏􀁑􀁌􀁉􀁒􀁏􀁌􀁄, 􀀴􀁘􀁈􀁕􀁆􀁘􀁖􀀃􀁐􀁒􀁑􀁊􀁒􀁏􀁌􀁆􀁄, 􀀳􀁌􀁑􀁘􀁖􀀃􀁇􀁈􀁑􀁖􀁌􀃀􀁒􀁕􀁄 afforestation and Pinus koraiensis afforestation. Second, in Diameter of Basal Height in eight quadrat, the major species were 􀀳􀁌􀁑􀁘􀁖􀀃􀁇􀁈􀁑􀁖􀁌􀃀􀁒􀁕􀁄, Quercus 􀁐􀁒􀁑􀁊􀁒􀁏􀁌􀁆􀁄 and 􀀶􀁒􀁕􀁅􀁘􀁖􀀃􀁄􀁏􀁑􀁌􀁉􀁒􀁏􀁌􀁄 and the maximum distribution of DBH is 15-20cm of 􀀳􀁌􀁑􀁘􀁖􀀃􀁇􀁈􀁑􀁖􀁌􀃀􀁒􀁕􀁄, 10-15cm of 􀀴􀁘􀁈􀁕􀁆􀁘􀁖􀀃􀁐􀁒􀁑􀁊􀁒􀁏􀁌􀁆􀁄 and 5-10cm of 􀀶􀁒􀁕􀁅􀁘􀁖􀀃􀁄􀁏􀁑􀁌􀁉􀁒􀁏􀁌􀁄. Third, the 􀀳􀁌􀁑􀁘􀁖􀀃􀁇􀁈􀁑􀁖􀁌􀃀􀁒􀁕􀁄 forests in the focused management area are dense and very close to 􀀴􀁘􀁈􀁕􀁆􀁘􀁖􀀃􀁐􀁒􀁑􀁊􀁒􀁏􀁌􀁆􀁄􀀐􀀶􀁒􀁕􀁅􀁘􀁖􀀃􀁄􀁏􀁑􀁌􀁉􀁒􀁏􀁌􀁄 so it is disadvantageous for growth and management. Fourth, in order to manage the forests, substitute exotic species such as acacia trees with traditional ones such as pine trees, and plant pine trees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throughout Jeongneung. In areas with dense trees, adequate space is provided for growth. The inclined pine trees around Bonbun are continuously and actively managed. Trees representing visual heterogeneity need to be cleaned up, and the boundary is adjusted to match the existing deciduous tree and the buffer space is secured to around 10 met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vey important implications to other Joseon royal tombs, which have undergone similar times, and reasonable managemen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after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s of individual Joseon royal tomb's historical landscape forests.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정릉 역사문화경관림의 실태
    3.2 정릉 역사문화경관림의 관리 방안
4.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규연(배재대학교 조경학과) | Kyuyeon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ai Cha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