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toration of the Divine Image in Hugh of St. Victor’s Didascalicon
본고는 위그 드 생빅토르(Hugues de Saint-Victor)의 저작인 『연학론』 (Didascalicon)의 전반적인 구성을 “토대-구조-완성”이라는 삼중적 모티프에 따라 고찰하였다. 첫 번째 요소인 “토대”는 성서적 신학의 기초인 히스 토리아(historia)에, 두 번째 요소인 “구조”는 성서적 구속사의 순서에 따른 교리적 의미인 알레고리아(allegoria)에, 마지막 “완성”은 성서적 신학의 정점인 영적 최고봉으로 인도하는 도덕적 해석으로서의 트로폴로기아 (tropologia)에 해당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위그 신학이 지향하는 궁극 목적인 인간 본성 안에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고자 하는 비전이 교육대계로서의 『연학론』에서 시종일관된 목표로 제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밖에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바는 다음과 같다. 위그가 신학 연구를 준비하는 예비과정으로서의 인문학예가 지닌 중요성을 일관되게 강조하는 데서 “글 읽기”(lectio)가 그의 전반적인 학문 체계 가운데 폭넓고 견실한 토대를 점 하고 있음이 잘 입증된다. 위그의 신학적 대전(summa)이라 할 수 있는 『성사들』(De Sacramentis)을 관통하는 “창조의 사역”(opus conditionis)과 “회복의 사역”(opus restaurationis)이라는 거시적인 신학적 틀이 『연학론』 의 결말부에서 확연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연학론』의 제5권에서는 덕의 실천이 지닌 중요성이 부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위그의 초기 저작인 『연학론』이 그 주제와 구성에 있어 그의 여타 주요 저술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과, 아울러 그가 신학 연구의 결실로서 윤리적 모범과 목회적 실천을 힘주어 말하는 대목에서는, 그 자신이 속 하여 활동하던, 12세기 의전사제단 운동에서 추구하던 고유한 영적 에토스 (“가르침과 본보기를 통해 타인을 건덕으로 인도함”)가 반영되어 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have examined the overall structure of Hugh of St. Victor’s Didascalicon along the line of the triplex “fundamentum-structuraconsummatio” each component of which corresponds respectively to historia as the basis of the scriptural divinity, allegoria as the doctrinal sense in accordance with the sequence of salvation history consisting in the scriptural facts and narratives, and tropologia as the deeper understanding of moralia that leads to spiritual apex, the culmination of divinitas. In so doing, I have confirmed that the vision of restoring the image of God in human nature, the ultimate goal of the Hugonian theology, does undergird this pedagogical compendium from the outset to the end. M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broad and robust basis as found in Hugh’s overall academic system of lectio or study is well attested by hi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liberal arts as propedeutic course preparatory to the study of theology. His overarching theological framework composed of “the work of creation” and “the work of restoration” that penetrates throughout his theological summa, De Sacramentis, is also recognized in the concluding part of the Didascalicon. Additionally, I have observed the significance of the practice of virtue to be highlighted in Book V of this text. Accordingly, I am led to conclude that this early work of Hugh is correlated thematically and structurally with his other major writings, and futhermore that the author’s care for ethical and pastoral praxis also reflects the spiritual ethos ― “edifying others by word and example(docere verbo et exemplo)” ― as proper to the 12th century canonical movement within which the Victorine master is pleased to find his own 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