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하계 한반도 해역(동해, 서해, 남해 및 동중국해)의 하위영양단계 먹이망 구조 :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활용 KCI 등재

Food-Web Structures in the Lower Trophic Levels of the Korean Seas (East Sea, West Sea, South Sea, and East China Sea) during the Summer Season: Using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86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는 2019년 8월 한반도 주변해역(동해, 서해, 남해, 동중국해)에서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기법을 활용하여 하위영양 단계에서의 먹이망 구조를 파악하였다. 입자성 유기물(POM)의 δ13C 범위는 -26.18 ~ 20.61 ‰, δ15N 범위는 5.36 ~ 15.20 ‰의 넓은 범위를 보였다. POM과 각 생물별 개체군 사이의 δ13C 분별작용의 결과는 대부분 micro-POM을 섭식하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나 해역 간 차이를 보였 다. 각 생물별 영양단계는 chaetognaths (3.40±0.61)가 가장 높은 영양단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위원소 혼합모델을 적용한 결과에서 chaetognaths의 먹이원으로 copepods (13 ~ 48 %)와 euphausiids (20 ~ 51 %)가 가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각 해역별 먹이원의 제한적 공급 및 다양성의 차이가 먹이망 구조 및 각 생물별 동위원소 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Food web structures in the lower trophic levels of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ere investigated in August 2019 using stable isotopes. There were variable ratios of the carbon (-26.18 ~ -20.61 ‰) and nitrogen stable (5.36 ~ 15.20 ‰) isotopes in the particulate organic matter (POM). Most of the organisms ingested micro-POM as a major food source, but this varied spatially. The chaetognaths (3.40 ± 0.61) occupied the highest trophic level. The isotope mixing model showed that the proportions (13 ~ 51 %) of some organisms (i.e., copepods and euphausiids) reflected the relative contributions as major food sources for chaetognaths at each site.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연구 지역 및 시료 채집
    2.2 이화학적 수질 자료
    2.3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 분석
    2.4 영양단계(Trophic Position, TP)
    2.5 먹이원 기여도 평가
3. 결과 및 고찰
    3.1 환경요인
    3.2 입자성 유기물의 안정동위원소 비
    3.3 먹이망 구조
    3.4 영양단계
    3.5 먹이원 기여도 평가 : SIAR 기법활용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민준오(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공학과) | Jun-Oh Min (Department of Marine Science and Convergence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이창화(부산대학교 해양학과) | Chang-Hwa Lee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san National University)
  • 윤석현(국립수산과학원) | Seok-Hyun Youn (Oceanic climate and Ecolog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