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1970년대 이후 한국 연안의 적조 발생 변화 KCI 등재

Variation in Harmful Algal Blooms in Korean coastal waters since 1970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86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국립수산과학원과 지역자치단체의 적조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해양환경 변동이 적조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1972년 적조 모니터링이 시작된 이후, 198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 적조 발생은 지속적으로 증가를 하였으며, 1998년 109건의 최다 적조발생 이후 2010년대까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1970년대는 대부분 규조 적조가 발생하였으며, 1980년대에는 연안성 와편모조류가 주로 적조를 일으켰으며, 1993년 이후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수산피해를 일으킨 유해 적조 생물은 3종이다. 1981년 진해만에서 Karenia mikimotoi에 의한 고밀도 적조가 발생하여 패류가 대량 폐사하였다. 1992년 통영해역에서 Karenina sp.에 의한 적조가 발생하여 양식어류를 폐사시켰으며, 1995년 C. polykrikoides 적조로 765억 원의 최대 규모의 수산피해가 발생한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연안해역의 영양염 농도는 1980년대에 가장 높았으며, 1990년 중반 이후 매우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영 양염 감소는 적조발생 감소를 잘 설명해 준다. 2016년 이후 30℃이상의 여름 고수온이 나타나며 C. polykrikoides의 적조 발생 범위와 규모 는 매우 감소하였다. 2016년 K. mikimotoi 적조가 전남 장흥∼고흥 해역에 발생하였으며, C. polykrikoides 적조는 여수해역에만 발생하였다. 2017년은 C. polykrikoides 적조 발생이 없었으며, Alexandrium affine 적조가 전남 여수∼경남 통영해역까지 발생하였다. 2018년은 평년에 비해 소규모 C. polykrikoides 적조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결과 우리나라 연안의 영양염 감소와 기후변화로 인한 고수온은 적조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Based on the results of harmful algal blooms (HABs) monitoring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and local governments, the effects of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on HABs are described. Since the beginning of HABs monitoring in 1972, they continued to increase from the 1980s to the 1990s. After the largest number of HAB incidents (109) in 1998; the trend declined until the 2010s. Most HABs in the 1970s were caused by diatoms. In the 1980s, coastal dinoflagellates caused HABs;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have been occurring continuously since 1993. There are three HAB species that cause damage to fisheries in Korea. The high-density bloom of Karenia mikimotoi caused mass mortality in shellfish in Jinhae Bay in 1981. Karenia sp. blooms occurring around Tongyeong in 1992 killed aquaculture fish. Since the occurrence of the largest fisheries damage of KRW 76.6 billion in 1995 caused by C. polykrikoides blooms, they have been occurring continuously.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in coastal waters was the highest in the 1980s and has declined since the mid-1990s. This reduction in nutrient concentration is a good explanation for the decreasing number of HABs. Since 2016, a summer high water temperature of 30℃ or more has appeared, and the range and scale of C. polykrikoides blooms have been greatly reduced. In 2016, K. mikimotoi blooms occurred around Wando, Jangheung and Goheung and small scale blooms of C. polykrikoides occurred around Yeosu. There were no C. polykrikoides blooms in 2017; however, Alexandrium affine blooms occurred from Yeosu to Tongyeong. There was a small-scale blooms of C. polykrikoides in 2018 compared to those in the previous years. Our results show that reduction in nutrients and the high water temperature owing to climate change are a good explanation for variation in HABs in Korean coastal water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자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적조 발생 특성
    3.2 양식생물 피해를 일으키는 유해 적조
    3.3 적조 발생과 영양염 변동
    3.4 적조 발생과 수온변동
References
저자
  • 임월애(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Weol-Ae Lim (Ocean Climate & Ecolog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고우진(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Woo-Jin Go (Ocean Climate & Ecolog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김경연(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Kyoung-Yeon Kim (Ocean Climate & Ecolog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박종우(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Jong-Woo Park (Ocean Climate & Ecology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