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UAV를 활용한 사진측량의 지상 기준점 배치에 따른 정확도 분석 KCI 등재

Accuracy Analysis of Photogrammetry Based on the Layout of Ground Control Points Using UAV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9465
  • DOIhttps://doi.org/10.16879/jkca.2020.20.2.0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UAV를 활용한 사진측량에서 지상 기준점 배치에 따른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역에 17개의 지상 기준점과 13개의 검사점을 설치하고 5가지 유형의 배치 형태를 만들었으며 검사점을 이용한 항공삼각측량의 성과분석과 산출물인 정사영상의 정량적, 정성적 분석 및 DSM을 이용한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지상기준점 배치 시에는 삼각망 형태의 평면상의 배치형태도 중요하지만, 지형의 기복에 따른 지점의 높이 값을 고려하여 배치해야함을 확인하였다. 즉, 측량 대상 지역의 전체적인 평면상의 배치와 함께, 높이 값을 고려하여 지상기준점을 배치해야 더 높은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study, an accuracy analys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ground control points layout in photogrammetry using UAV. 17 ground control points and 13 check points were installed in the studied area, and five types of layout were created, and various spatial analysis techniques were applied by combining the performance analysis of aerial triangulation using the check points an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ortho mosaic photo and the digital surface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ayout of the plane in the form of a triangle is important when placing the ground control points, but the height value of the point to be placed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other words, a ground control points can be installed in an optimal location to ensure higher accuracy, taking into account the overall layout and height values of the area being surveyed.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관련연구
III. 연구방법
    1. 위치정확도 평가
    2. 정성적・정량적 분석
    3. NDSM 분석
    4. DSM 분석
III. 데이터 구축
    1. 항공 촬영
    2. 지상기준점 및 검사점 배치
    3. 지상기준점 및 검사점 측량
    4. 영상 처리
IV. 실험 및 분석
    1. 지상기준점 배치에 따른 항공삼각측량성과분석
    2. 검사점을 이용한 항공삼각측량 성과분석
    3. 정사영상 및 DSM의 정량적 분석
    4. 정사영상 및 DSM의 정성적 분석
    5. NDSM 및 DSM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홍일영(남서울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Il Young Hong (Department of GIS Engineering, Namseoul University)
  • 김준석(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June Seok Kim (Department of GIS Engineering, Namseou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