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안경의 편측공간무시 감소 효과
목적 : 본 연구는 프리즘이 적용된 안경이 편측공간무시를 가진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확인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2019년 5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서울에 위치한 M병원에서 실시하였으며, 뇌졸중 환자 중 연구 선정 기준에 부합되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에게는 10 △과 15 △ 프리즘 안경을 적용하였 으며, 편측공간무시는 알버트 검사, 별지우기 검사, ‘ㄹ’지우기 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가 10 △과 15 △이 적용된 프리즘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알버트 검사에서는 19.00±3.94점에서 15.70±5.68점과 11.60±6.17점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0). 별지우기 검사에서는 32.68±9.19점 에서 46.07±10.64점과 54.64±12.91점으로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0), ‘ㄹ’지우기 검사에서도 18.30±5.14점에서 23.50±7.58점과 27.0±5.76점으로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0). 프리즘이 적 용된 안경 착용하였을 때 모든 검사에서 편측공간무시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프리즘이 적용된 안경은 편측공간무시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편측공간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프리즘 안경을 적용하면 편측공간무시를 감소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prism glasses could reduce unilateral spatial neglect for hemineglect with stroke.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M hospital located in Seoul from May 2019 to February 2020. Ten subjects with stroke were selected who met the criteria for the study. Subjects were prescribed with 10 and 15 △ prism glasses. Unilateral spatial neglect was measured by the Albert test, the star cancellation test and the letter cancellation test.
Results : The baseline of Albert's test value was 19.0±3.94 and decreased to 15.70±5.68 and 11.60±6.17 for 10 and 15 △, respectively(p<0.050). The star cancellation test value increased from 32.68±9.19 to 46.07±10.64 and 54.64±12.91(p<0.050). The letter cancellation test value increased from 18.30±5.14 to 23.50±7.58 and 27.0±5.76(p<0.050). Prism adaptation treatment showed that unilateral spatial neglect decreased in all tests.
Conclusion : The prism glasses showed that there was effect on the reduction of unilateral spatial neglect. It is, therefore, thought that theunilateral spatial neglect with stroke could decrease with prism g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