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프리즘이 적용된 안경이 편측공간무시를 가진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확인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2019년 5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서울에 위치한 M병원에서 실시하였으며, 뇌졸중 환자 중 연구 선정 기준에 부합되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에게는 10 △과 15 △ 프리즘 안경을 적용하였 으며, 편측공간무시는 알버트 검사, 별지우기 검사, ‘ㄹ’지우기 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가 10 △과 15 △이 적용된 프리즘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알버트 검사에서는 19.00±3.94점에서 15.70±5.68점과 11.60±6.17점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0). 별지우기 검사에서는 32.68±9.19점 에서 46.07±10.64점과 54.64±12.91점으로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0), ‘ㄹ’지우기 검사에서도 18.30±5.14점에서 23.50±7.58점과 27.0±5.76점으로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0). 프리즘이 적 용된 안경 착용하였을 때 모든 검사에서 편측공간무시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프리즘이 적용된 안경은 편측공간무시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편측공간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프리즘 안경을 적용하면 편측공간무시를 감소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적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편측 공간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프리즘 적응 치료라는 접근법에 대한 이론, 중재방법 그리고 임상적 효과 등을 분석하여 국내 임상 적용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SCOPUS와 EBSCOhost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 여 프리즘 적응 치료를 적용한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검색어는 “prism adaptation neglect”, “prism adaptation stroke”으로 검색되는 논문으로 하였다. 1차 검색으로 230편의 논문 중 선정기준 및 제외기 준에 따라 20편의 논문을 최종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된 연구 20편에서 프리즘 적응 치료에 사용하였던 프리즘 이동 각도는 평균 10.7°이었으며 평 가도구는 기능적 독립수준 측정(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과 같은 전반적인 일상생활 의 기능적 수준에 대한 평가도구와, 직선이분검사 또는 소거검사 등과 같은 편측 공간무시에 대한 전통 적인 평가가 사용되었다. 연구설계에 따라 중재 기간은 1일부터 8주로 다양했으며, 치료 효과도 즉각적 인 단기 효과부터 6개월 장기 효과까지 연구마다 차이가 있었다. 만성 뇌졸중 환자에 대한 연구는 3년 이상까지 프리즘 적응 효과가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프리즘 적응 치료의 연구들은 주로 편측 공간무 시 증상 회복을 확인하였고, 기능적 효과로 공간 탐색이나 정신적 표상 등과 같은 인지기능, 안구운동, 일상생활 수행정도 등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체계적 고찰을 통해 뇌졸중 환자에 대한 프리즘 적응 치료 중재 및 효과 등을 제시하였 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임상에서 편측 공간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프리즘 적응 치료를 효과적 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Unilateral neglect has been the most considerable problem that affects the functional prognosis of CVA patients. The approaches to this symptom are both remedial and compensatory approach. Remedial approach is more valuable method than compensatory approach in terms of reducing the unilateral neglect originally. One of the method of remedial approach is controlled sensory stim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ft visual stimuli for reducing the severity of unilateral neglect. The subject was a 40-year-old male patient who had left unilateral neglect. We have put blinking light in the left space of the patient while he performed the line bisection test before and after the stimulation. As a result, the stimulation was not
distinctively effective to release the neglect. For further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he environment when stimulating, the strength and duration of stimulation must be control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