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alysis of Corneal Asphericity according to Age and Gender KCI 등재

연령과 성별에 따른 각막 비구면도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99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한국인을 대상으로 30대 이상에서 비구면도의 분포를 알아보고 연령과 성별에 따른 각막 비구면도의 변 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총 317명(317안)의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굴절 이상은 자동굴절검사기기를 이용하여 측정 된 수치를 분석하였으며, 비구면도와 각막곡률측정치는 회전 샤임플러그 카메라를 이용하여 중심부 6 mm에서 측 정된 수치를 분석하였다.
결과 : 각막 전면의 비구면도는 –0.17±0.18(–0.84∼0.72)이었고, 후면의 비구면도는 –0.11±0.29(범위 –0.89 ∼1.27)이었다.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각막 전면 비구면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p=0.359), 각막 후면 비구면도는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80대 이상까지 각각 0.01±0.18, 0.10±0.29, -0.12±0.22, -0.20±0.25, -0.27±0.20, –0.33±0.3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상관분석 결과 각막 후면의 비구 면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0.480, p<0.001)를 보였다.
결론 : 각막 전면의 비구면도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후면의 비구면도는 연령 이 증가함에 따라 편원형에서 편장형으로 변화하였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corneal asphericity of all ages in Koreans and changes in corneal asphericity according to age and gender.
Methods : A total of 317 people(317 eye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refractive error was analyzed by the autorefractometer. The corneal asphericity and curvature were measured in the central 6 mm zone of the cornea and analyzed by a rotating scheimplug camera.
Results : The anterior and posterior corneal Q-values were -0.17±0.18(ranged -0.84 to 0.72) and -0.11±0.29(ranged -0.89 to 1.27), respectively. As the age group increased, the anterior corneal Q-value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p=0.359), while the posterior corneal Q-valu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0.01±0.18, 0.10±0.29, -0.12±0.22, -0.20± 0.25, -0.27± 0.20 and –0.33±0.31 in the 30s, 40s, 50s, 60s, 70s and over 80’s, respectively(p<0.001). The posterior corneal Q-valu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ge(r=-0.480, p<0.001).
Conclusion : The anterior corneal Q-value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age while the posterior corneal Q-value changed from oblate to prolate shape as the age increased.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검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연구방법
    3. 자료 분석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Youngju An(Dept. of Optometry, Baekseok Culture University) | 안영주
  • Jung-Hee Kim(Dept. of Optometry & Vision Science, Dongnam Health University) | 김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