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영월 녹전리 일대 이목화강암과 관련된 스카른 광화작용 KCI 등재

Skarn Mineralization Associated with the Imog Granite in Nokjeonri Area, Yeongwo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44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태백산광화대에 속하는 영월군 녹전리 일대에는 이목화강암과의 경계부를 따라 탄산염암을 모암으로 하는 Ca 및 Mg 스카른과 광화작용이 발달하였다. Ca 스카른은 석회암을 모암으로 석류석과 휘석이 산출되며, Mg 스카른은 백운암이 모암이며, 감람석 및 사문석이 발달한다. 광석광물은 초기 자철석-적철석 그리고 후기 자류철석(±회중석)-황철석-방연석-섬아연석이 정출된다. 석류석은 근거리에 안드라다이트 조성 그리고 원 거리에 그로슐라 조성이 각각 우세하며, 휘석은 투휘석이 주로 산출된다. 이러한 조성변화는 유체가 이목화강 암에서 원거리로 이동함에 따라 모암과의 반응이 증가하여 산화환경에서 환원환경으로 변화하였음을 나타낸다. Mg 스카른의 자철석이 Ca 스카른보다 Fe2O3는 높고 FeO는 낮은 특징을 보이며, Mg 스카른에서 높은 MgO 함량을 보인다. 섬아연석의 Zn/Fe 비는 이목화강암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황화광물 의 δ34S 값은 이목화강암과 유사한 값을 보이고 있어서 대부분의 황이 화성기원임을 시사한다. 광화작용은 온도 및 산소분압의 감소와 더불어 황분압이 증가함에 따라 스카른광물, 산화광물 그리고 황화광물 순으로 정출되었다.

The study area of Nokjeonri in Yeongwol belongs to the Taebaeksan Mineralized District. Ca and Mg skarn and related ore mineralization are developed in the Pungchon formation along the contact with the Imog granite. Ca skarn hosted in limestone mostly comprises garnet and pyroxene. Mg skarn developed in dolomite includes olivine and serpentine. Magnetite-hematite and pyrrhotite(±scheelite)-pyritegalena- sphalerite were mineralized during early and late stage, respectively. Garnet compositions are dominated by andradite series in proximal area and grossular series in distal area. Pyroxene compositions correspond to diopside series in majority. These compositional changes indicate that the fluids varied from oxidizing condition to reducing condition due to increased reaction with carbonated wall rocks as the fluids moved from the granite to a distal place. Fe2O3 and MgO concentrations of magnetite are higher in Mg skarn than those in Ca skarn, while FeO shows opposite trend. The Zn/Fe ratio of sphalerite increases with distance from the Imog granite. The δ34S values of sulfide mineral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Imog granite, indicating magmatic origin in ore sulfur. Mineralization was established in the order of skarn, oxide and sulfide minerals with decreasing temperature and oxygen fugacity and increasing sulfur fugacity.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지 질
스카른 및 광화작용
    이목화강암
    Ca 스카른
    Mg 스카른
    공생관계
연구방법
분석결과
    스카른광물
    광석광물
    황안정동위원소
토 의
    스카른의 발달
    광석광물 조성
    황의 기원
    생성환경의 변화
결 론
REFERENCES
저자
  • 정준영(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Jun-Yeong Jeong (Department of Geoenvironmental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신동복(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Dongbok Shin (Department of Geoenvironmental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임헌경(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Heonkyung Im (Department of Geoenvironmental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