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s of Temperature and Holding Solutions on Vase Life of Arenaria juncea M. Bieb., a New Ornamental Plant KCI 등재

신관상식물 벼룩이울타리(Arenaria juncea M. Bieb.)의 온도 및 보존용액에 따른 절화수명 특성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6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기존에 절화용으로 개발되지 않았던 벼룩이울타리를 절화로써의 가치와 가능성을 증명함으로써 새로운 관상식물로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은 온도, 보존용액, 절화 수명연장제에 따른 절화 벼룩이울타리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절화수명, 수분흡수량, 생체중을 조사하였다. 수확 후 절화는 4, 15, 20, 25°C의 온도 조건에 따른 영향력과 1, 3% sucrose 와 8-hydroxqui-noline sulfate(8-HQS) 10, 50, 100mg・L-1 혼 용보존용액, 절화수명연장제 Chrysal와 Floarlife을 처리하였다. 저장 온도에 따른 실험 결과, 절화 벼룩이울타리는 저온 (4°C)에서의 저장에서의 절화수명이 대조구(7.8일)보다 29일 연장되었다. 온도가 낮을수록 절화의 품질과 수명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sucrose와 8-HQS의 효과 확인을 위해 가장 낮은 농도의 당과 살균제를 혼용한 1% sucrose+8-HQS 10mg・L-1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보존용액 대조구(6.5±0.5일)에 비하여 절화수명이 약 2주 연장되었다. 또한, 절화수명연장제 Chrysal 과 Floarlife는 sucrose와 8-HQS의 혼용보존용액과 절화수명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한편, 모든 실험 조건에서 수분흡수량과 생체중의 급격한 감소는 절화수명의 단축됨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timum temperature and holding solutions for the storage of cut flowers of Arenaria juncea M. Bieb. to facilitate their introduction as a new ornamental plant. We examined the effects of different holding solutions on the water uptake, vase life, and fresh weight of five branches of A. juncea. After harvest, cut branches were stored at 4, 15, 20, and 25°C. To study the effect of the holding solutions, the cut branches were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sucrose (1% and 3%), 8-hydroxyqunoline sulfate (8-HQS: 10, 50, and 100 mg·L-1), and commercial preservative solutions Chrysal and Floralife. At a storage temperature of 4°C, the vase life was 29 days, which was significantly longer compared to room temperature, where the vase life was 7.8 days. Thus, a lower temperature was more effective at extending the vase life. A combination of 1% sucrose and 100 mg·L-1 8-HQS prolonged the vase life by approximately two week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effect of both Chrysal and Floralife was similar to the effect of the holding solutions composed of sucrose and 8-HQS. Moreover, rapid reduction of water uptake and fresh weight resulted in a shorter vase life.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식물 재료
    처리 방법
    저장온도
    보존용액
    절화수명연장제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저장온도 조건에 따른 영향
    보존용액 처리에 따른 영향
    절화수명연장제와 전처리에 따른 영향
초 록
References
저자
  • Yae Eun Kwon(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권예은
  • Un Seop Shin(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신운섭
  • Ji Woo Park(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박지우
  • Su Jung Song(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송수정
  • Sang In Lee(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이상인
  • Sang Yong Kim(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김상용
  • Mi Jin Jeong(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정미진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