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열매 수확물 운반을 위한 간이형 보행 동력운반차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Working-type Simple Power Cart for Fruit Harvest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9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과수농가에서 수행되는 수확작업은 노동부하가 큰 주요작업으로 수확된 과실의 적재 및 운반작업에 소모되는 노동력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과수농가를 대상으로 수확된 열매의 적재 및 운반작업에 사용 가능한 간이형 보행 동력운반차를 개발하였다. 과수 농민들의 요구조건을 고려하여 동력운반차의 이동속도 및 적재 용량을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동력운반차의 주요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동력전달경로를 분석하였다. 또한, 개발된 동력운반차의 성능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상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설계된 간이형 보행 동력운반차는 전·후진이 가능하고 이동속도는 최대 1 m/s이며, 최대적재용량은 500 kg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이형 보행 동력운반차를 활용하면 농민들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신체적인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harvesting work in orchard is a major work with the high labor load, and the required labor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fruit is huge. In this study, the working-type simple power cart that can be used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is developed. Moving speed and loading capacity of the power cart were selected considering of requirements of orchard farmers. Accordingly, the main components of the power cart were selected and the power transmission path was analyzed. The performance test was conducted and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mmercial software. The working-type simple power cart is capable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nd it can adjust the moving speed from 0 to 1 m/s using the motor controller. The maximum loading capacity is 500 kg. The developed working-type simple power cart is expected to reduce the labor load and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required for the harvesting work in orchard.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주요 기계요소 선정 방안
    2. 간이형 보행 동력운반차 설계방안
    3. 동력전달경로 분석
    4. 성능시험 수행 방안
    5. 정적안전도 분석
결과 및 고찰
    1. 간이형 보행 동력운반차 개발
    2. 주요 기계요소 선정 결과
    3. 동력전달경로 분석 결과
    4. 성능시험 수행 결과
    5. 정적안전도 분석 결과
References
저자
  • 황석준(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Seok-Joon Hwang (Dept. of Biosystems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정훈(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Jeong-Hoon Kim (Dept. of Biosystems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주연(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Ju-Yeon Lee (Dept. of Biosystems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남주석(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Ju-Seok Nam (Dept. of Biosystems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