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려산(강화군)의 관속식물상 KCI 등재

Floristic Study of Mt. Goryeo (Ganghwa-gun)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17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강화군 고려산(436 m)의 관속식물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8년 3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12과 371속 568종 10아종 45변종 2품종 4교잡종으로 총 629분류 군이 확인되었다. 고려산은 한반도의 온대 중부지역에 속하고 낙엽활엽수와 침엽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참나무류-소 나무류가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본 지역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식물은 314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은 6분류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은 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6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58분류군이며, 귀화 율 9.2%, 도시화지수 15.5%로 나타났다. 본 지역은 식물 다양성이 풍부하고, 희귀식물 및 식물지리학적 중요 식물들이 관찰된다. 고려산의 효과적인 관리와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해 체계적인 사항들이 논의되었다. 본 결과는 생물 다양성의 보전과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Mt. Goryeo in Ganghwa-gun, Korea. The results of 14 field surveys from March 2018 to August 2019 identified 629 total taxa, representing 568 species, 10 subspecies, 45 varieties, two forms, and four hybrids in 371 genera and 112 families. The plant formation of Mt. Goryeo is the deciduous broad-leaved and conifer mixed forest, which is the common one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Most parts of the mountain are covered with a young secondary forest, mainly composed of Quercus and Pinus spp. Out of the 629 taxa, 314 were first recorded in the region, six were endemic to Korea, four were listed on the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63 were floristic target plants, and 58 were invasive alien plants. The percentages of the naturalized index (NI) and urbanization index (UI) were 9.2% and 15.5%, respectively. The area showed a high plant diversity with many rare plants and phytogeographically important plants. This study discussed in detail conservation strategies to ensure biodiversity and effective management of Mt. Goryeo.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the reference for the preparation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measure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조사분석
결과 및 고찰
    1. 관속식물상
    2. 한반도 특산식물
    3. 적색목록
    4.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5. 침입외래식물
    6. 종합고찰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김중현(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Jung-Hyun Kim (Plant Resource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교신저자
  • 박성애(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 Sung-Ae Park (Water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