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Impact of Physical and Vegetation Patterns on Parks Environment: A Case Study of Gusan Neighborhood Park, South Korea KCI 등재

도심산림녹지의 식생 및 물리적 구조에 따른 숲 내부 미기상 변화 연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18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도심지 산지형 공원의 물리적 구조 및 식생구조가 기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물리적 구조인 표고, 경사도, 사면 향, 지형구조와 식생 구조인 현존식생, 흉고직경, 울폐도의 기상과의 평균비교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표고의 경우 상대습도, 풍속, 일사에서 유형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경사도의 경우 풍속을 제외한 모든 기상요소에서 유형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면 향의 경우 기온과 상대습도에서 유형간 차이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형구조의 경우 계곡부, 사면부, 능선부로 구분하였으며, 상대습도에서 측정 값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기온, 풍속, 일사량에서는 일정한 경향과 유형간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생구조 중 현존식생의 경우 일사량을 제외한 기온, 상대습도, 풍속 항목에서 유형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흉고직경의 경우 기온, 풍속, 일사량 항목에서 유형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울폐도의 경우 기온과 일사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생 및 물리적구조가 기상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관계분석결과 기온의 경우 경사도와 사면 향, 흉고직경과 울폐도에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상대습도의 경우 물리적구조인 표고, 경사도, 사면 향, 지형구조와 식생구조인 현존식생과 울폐도에서 상관성이 분석되었다. 풍속의 경우 표고, 현존식생, 흉고직경에서 상관성이 분석되었으며, 일사량의 경우 경사도와 흉고직경, 울폐도간의 상관성이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기온과 상대습도, 일사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는 울폐도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경사도에서 상관관계가 높게 분석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흉고직경 또한 기온과 일사량간의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풍속과의 상관관계도 나타났으나 상대습도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physical structure, such as altitude, slope gradient, slope direction, and topographical structure, and the vegetation pattern, such as existing vegetation, diameter of breast height (DBH), and crown density, on climat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and solar radiation at varying altitud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climate factors except for the wind speed at varying slope gradient,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 temperature and relative humanity at varying slope direction. The topographic structures were divided into valleys, slopes, and ridges. They were found to differ in relative humidity.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constant trends and types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concerning temperature, wind speed, and solar radi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wind speed were recorded with changing existing vegetation. The DB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mperature, wind speed, and solar radiation. The crown dens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analysis for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vegetation pattern and physical structure on the meteorological environment showed that temperature was affected by slope gradient, slope direction, DBH, and crown density. The relative humidity was correlated with the altitude, slope gradient, slope direction, and topological structure in physical structure and the existing vegetation and crow density in vegetation pattern. The wind speed was correlated with the altitude, existing vegetation, and DHB, and the solar radiation was correlated with the slope gradient, DHG, and crown density. The crown density was the most overall significant factor i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solar radiation, followed by the slope gradient. DBH was also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ind spe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lative humidity.

목차
ABSTRACT
요 약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1. Study Site
    2.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
    1. Vegetation Cover of Gusan Neighborhood Park
    2. Effect of Vegetation on Microclimate of the Park
    3. Effect of Park Topography on Environmental Factors
    4. Overall impact of vegetation and physical patterns onthe climate factors of park
REFERENCES
저자
  • Jeong-Ho Kim(건국대학교 친환경과학부 녹색환경시스템전공) | 김정호
  • Won-Jun Choi(국립농원과학원 농업환경부) | 최원준
  • Sang-Hoon Lee(건국대학교 대학원 녹색기술융합학과) | 이상훈
  • Myung-Hun Lee(건국대학교 대학원 녹색기술융합학과) | 이명훈
  • Yong-Han Yoon(건국대학교 친환경과학부 녹색환경시스템전공) | 윤용한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