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영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도, 선호도 및 요구도 KCI 등재

Parent’s Perception, Preference and Demand for Paren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19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도, 선호도 및 요구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경남지역 5개 시·군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재원 자녀의 부모 1,008명이며,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도는, 부모교육 유형에서 ‘매체 를 통한 교육’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부모교육 내용은 ‘자녀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관한 내용’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부모교육이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높았다. 둘째, 부모교육 참여에 대한 부모의 선호도는 부모교육 참여 시 부모가 가장 선호하는 요일은 ‘평일’이고, 교육시간대는 ‘오전 10-12시’ 였다. 또한 부모교육 1회 시 교육시간은 ‘1시간’을 가장 선호하였고, 부모교육 횟수는 ‘한 학기에 1회’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 유형은 ‘부모 교육전문가에 의한 초청특강’을 가장 선호했으며, 부모교육 내용은 ‘자녀와의 효 과적인 의사소통’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부모의 요구도는 ‘자녀와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 게 나타났다. 넷째, 영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부모의 요구도는 공립유치원 부모들이 사립유치원 부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arent’s perceptions, preferences, and demands for paren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008 parents of children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n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considered the most common type of education that they had received to be ‘education through media’ and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children’, which was the most common topic of education. Second, in terms of the parent’s mostly preferences for the time of participation in parent education, the parents preferred weekdays from 10 am to 12 pm. In addition, the most popular length of time and frequency for each education session was one hour and once per semester. The most preferred type of parent education was ‘sessions by invited parent education experts’ on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children’. Third, regarding the respondent’s demands for the topic of parent education, the topic with the highest demand was ‘effective ways to communicate with children’. Fourth, according to the type of infant and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parents with children in public kindergartens were more demanding than parents with children in private kindergarte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조사절차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영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도
    2. 영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운영에 대한 부모의 선호도
    3. 영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부모의 요구도
    4. 영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부모교육 내용 요구도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최희선(사천 또록이 어린이집) | Choi Hee-sun (Torok Children’s House.)
  • 최정혜(경상대학교 유아교육과/경상대학교 교육연구원) | Choi Jeong-hy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