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토양 수분 함량에 따른 너도개미자리, 벼룩이울타리, 산괴불주머니의 노지 생육 KCI 등재

Growth of Minuartia laricina, Arenaria juncea, and Corydalis speciose in Field with Various Soil Water Cont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19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국내 자생식물은 관상적가치 뿐만 아니라 환경 적응력도 뛰어나므로 정원 식물로 활용가능하다. 토양의 적절한 용적수 분함량(volumetric water content, VWC)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환경적 요인이 통제되는 온실 환경 조건에서 수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정원 식재를 고려할 때 빈번한 강우가 발생하는 실외 조건에서 자동 관수 시스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노지 환경에서 너도개미자리, 벼룩이 울타리 및 산괴불주머니의 생장에 적합한 VWC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실험에 사용한 토양은 자연풍화 마사토를 이용했으며, FDR 방식의 토양 수분 센서 및 데이터로거를 사용하여 0.15, 0.20, 0.25, 0.30 m3∙m-3 수준의 VWC를 유지시켰다. 벼룩이울타리는 VWC 처리간에 생장 및 항산화 효소 활성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단지 토양 수분 함량이 가장 높았던 VWC 0.30 m3∙m-3 처리에서 생존율이 낮았다. 물 사용 효율을 고려하면 벼룩이울타리는 VWC 0.15‒ 0.20 m3∙m-3 수준이 재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너도개미자리는 VWC 조건이 낮을수록 생장량이 높았다. 실외의 빈번한 강우로 인해 관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VWC 0.15 m3∙ m-3 처리에서도 식물 부피 및 생존율이 높았다. 산괴불주머니는 초장, 줄기 수, 측지 수, 생물중 및 건물중이 VWC 0.25 m3∙ m-3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종합하면, 너도개미자리는 VWC 가 낮은 환경에서도 관리가 가능한 식물종이며 벼룩이울타리 와 산괴불주머니는 너도개미자리보다 VWC를 높게 유지하되 과도한 수분 공급은 피해야할 것이다.

Plants native in Korea have not only ornamental values but also have excellent environmental adaptability, so they can be used as garden plants. Studies on proper volumetric water content (VWC) of substrates have been reported, but many have been conducted in glasshouse conditions where environmental factors were controlled. When considering garden planting,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automated irrigation system in outdoor conditions where rainfall occurs at frequent intervals.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VWC suitable for the growth of Minuartia laricina, Arenaria juncea, and Corydalis speciosa in open filed. Sandy soil which consisted of particles of weathered rock was used, and the VWC of 0.15, 0.20, 0.25, and 0.30 m3·m-3 was maintained using an automated irrigation system with capacitance soil moisture sensors and a data logg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and antioxidant enzymes activity of A. juncea were observed among VWC treatments. However, the survival rate was low at VWC 0.30 m3·m-3 treatment, which was the highest soil moisture content. Even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water use, we recommended that VWC 0.15−0.20 m3·m-3 is suitable for the cultivation of A. juncea. Minuartia laricina showed better growth with lower VWC. Because of frequent rainfall in open field, plant volume and survival rate was high even in VWC 0.15 m3·m-3 treatment. In C. speciosa, the plant height, number of shoots and lateral shoots, and fresh and dry weight were higher in plants grown in VWC 0.25 m3·m-3 as compared with that in the plants grown at 0.15, 0.20, and 0.30 m3·m-3. Based on these results, M. laricina needed less water in open filed, and A. juncea and C. speciosa required higher VWC, but excessive water should be avoided.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식물재료 및 실험환경
    2. 자동관수시스템 구축
    3. 수분보유곡선 측정
    4. 생육조사
    5. 효소 분석
    6. 통계 분석
결과 및 고찰
    1. 환경데이터
    2. 식물 생육과 내건성 평가
적 요
Literature Cited
저자
  • 길민(배재대학교 원예산림학과) | Min Gil (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Forestry, Pai Chai University)
  • 권혁환(배재대학교 원예산림학과) | Hyuck Hwan Kwon (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Forestry, Pai Chai University)
  • 권영현(배재대학교 원예산림학과) | Young Hyun Kwon (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Forestry, Pai Chai University)
  • 정미진(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Mi Jin Jung (Division of Plant Resources, Korea National Arboretum)
  • 김상용(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Sang Yong Kim (Division of Plant Resources, Korea National Arboretum)
  • 이용하(배재대학교 원예산림학과) | Yong Ha Rhie (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Forestry, Pai Cha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