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온도 상승에 따른 복숭아 ‘미홍’의 수체생육 및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전주시 평년 온도를 대조구로 하여 평년 대비 +3.4℃(21C 중반기), +5.7℃(21C 후반기) 상승시켜 자연광온실에서 4월 25일부터 7월 5일까지 처리하였다. 수체 생육은 신초 수와 길이가 온도 상승에 따라 증가하였고, 엽면적은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수확기는 대조구, +3.4℃ 처리구, +5.7℃ 처리구에서 각각 7월 1일, 6월 24일, 21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졌다. 과중은 평년보다 3.4℃ 상승하였을 때 증가하였지만 5.7℃까지 상승할 경우 오히려 평년보다 감소하여, 주당 수량은 +3.4℃ 처리구(2,898g), 대조구(2,746g), +5.7℃ 처리구(2,404g) 순으로 많았다. 이는 과실 생육기인 5월부터 6월 초까지의 평균 최대광합성률이 +3.4℃ 처리구에서 14.93 μmol∙CO2∙m-2∙s-1 으로 대조구 13.79 μmol∙CO2∙m-2∙s-1와 +5.7℃ 처리구의 13.20 μmol∙CO2∙m-2∙s-1에 비해 높았고, 기공의 밀도 또한 +3.4℃ 처리구에서 229 ea/mm2로 대조구 181 ea/mm2에 비 해 높았던 결과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해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화아분화율은 +5.7℃ 처리구에서 59.8% 로 대조구 63.8%, +3.4℃ 처리구 65.8%보다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3.4℃ 까지의 온도 상승은 복숭아 ‘미홍’의 수량과 과실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5.7℃ 이상의 온도 상승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vated temperatures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peach ‘Mihong’ (Prunus persica). We simulated three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sunlight phytotron rooms from April 25 to July 5, 2019; Control (average temperature in normal years in Jeonju city), +3.4℃ treatment (expecting temperature in mid-21st century), +5.7℃ treatment (expecting temperature in late 21st century). The shoot numbers and lengths were increased while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but the leaf area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he harvest dates were July 1, June 24 and 21 at the control, +3.4°C, and +5.7°C, respectively. The fruit weights were increased at +3.4°C but decreased at +5.7°C compared to the control. The tree yield was the highest in the +3.4°C (2,898g), followed by the control (2,746g) and the +5.7°C (2,404g). These are related to the result that the average of maximum photosynthesis rate at 3.4℃ (14.93μmol∙CO2∙m-2∙s-1) was higher than those at the control (13.79μ mol∙CO2∙m-2∙s-1) and +5.7℃ (13.20μmol∙CO2∙m-2∙s-1) from mid-May to early June, the fruit growing season. Also, the stomatal densities were higher at the +3.4℃ (229ea/mm2), compared to the control (181ea/mm2). The rate of floral bud differentiation affecting the yield in the following year was the lowest at the +5.7°C.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temperature elevated to 3.4°C in the future may give a positive effect on the yield and quality of peach 'Mihong' while a temperature elevated above 5.7°C may affect nega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