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다양한 낙석 충돌에너지에 대한 표준 낙석방지울타리 형식 제시 연구 KCI 등재

Study on a Standardized Rockfall-Protection Fence for Various Rockfall Impact Energy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19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대한민국은 산악지형이 많으며 사면붕괴로 인한 도로구조물 및 인명피해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사면붕괴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낙석방지시설이 필요하다. 국내의 낙석방지울타리는 50kJ의 낙석 충돌 에너지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하지만, 낙석 에너지의 크기는 사면의 형태 및 조건에 따라 편차가 크며 약 100kJ에 이르기도 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낙석방지울타리의 설계 및 설치를 위해서 여러 종류의 낙석에너지에 맞는 표준화된 낙석방지울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낙석에너지에 따른 낙석방지울타리의 표준 단면을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제안하였다. 최종적으로 기존 50kJ 낙석방호울타리 외에 30kJ 및 100kJ급 낙석방지울타리를 제안하였다.

Korea has many mountainous regions, and slope collapse that can lead to damage in road facilities and loss of lives often occurs. Rockfall-protection facilities are necessary to reduce such damages. Among these facilities, the standard Korean rockfall-protection fence is designed to resist 50 kJ of rockfall impact energy. However, the range of rockfall energy significantly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slope, and it sometimes reaches up to 100 kJ. Thus, providing several types of standardized rockfall-protection fence is necessary to address the different rockfall impact energy for efficient response to rockfalls.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standardized rockfall-protection fence for various rockfall impact energy using finite-ele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standardized rockfall-protection fences against rockfall impact energy of 30 and 100 kJ were proposed and have been verified.

목차
Abstract
1. 서 론
2. 유한요소해석 모델 구성 및 등급별 낙석방지울타리단면 제시
    2.1 유한요소해석 모델
    2.2 낙석에너지별 낙석방지울타리의 표준 단면 제원
3.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낙석방지울타리 성능검증
    3.1 30kJ 표준 낙석방지울타리
    3.2 100kJ 표준 낙석방지울타리
4. 결 론
References
요 지
저자
  • 박현곤(동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Hyungon Park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장현익(한국도로공사) | Hyunick Jang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 김범주(동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Bumjoo Kim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문지호(강원대학교 건축·토목·환경공학부) | Jiho Moo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