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오디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활성 및 항균활성 KCI 등재

Protective Effect against Neuronal Cell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acteria of Mulberry Fruit Extra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25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최근 뽕잎과 더불어 기능성 및 천연색소 자원으로서 뽕나무의 열매인 오디가 새로운 작목으로 유망시 되고 있다. 농가의 소득향상은 물론 소비자의 관심과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오디를 수확하여 신경세포 보호활성과 항균활성에 대한 오디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함으로써 오디의 기능성 및 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경독성 물질 H2O2 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사에 대하여 오디 추출물 10ug/ml 의 농도 처리시 37~% 의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으며, Oxygen-glucose deprivation (OGD)에 의하여 유발된 뇌허혈 모델에서는 오디 C3G의 경우 농도 의존형으로 세포괴사를 막았다. 특히 cyanidin의 경우는 10ug/ml 의 농도에서 70~% 이상의 뇌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2. 오디 추출물과 C3G의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청일뽕 오디의 MeOH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가장 높았으나, Salmonella typhimurium 의 경우 모든 처리군에서 70~% 이상의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모든 처리군에서 50ul 농도보다 100ul 농도에서 균주의 억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As functional evaluation of mulberry fruits extracts, the protective effect on cerebral cell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carried. 1~% HCl-MeOH extract showed 37~% cytoprotective effect on hydrogen peroxide, also C3G identified mulberry fruits and cyanidin showed 52~%,~;76~% , respectively, protective effects on oxygen-glucose deprivation (OGD). I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mulberry fruit extracts, MeOB-Cheongil extract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Salmonella typhimurium was shown inhibitory rate more than 70~% in all treatment groups. Also Klebsiella pneumoniae was shown inhibitory activity in all treatment groups.

저자
  • 김현복(농업과학기술원)
  • 김선여(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 이항영(RNL생명과학(주))
  • 김선림(작물과학원)
  • 강석우(농업과학기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