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공간적 관점에서 경관패턴 변화 및 경관다양성 분석 -중국 후남성 녹심지역을 대상으로- KCI 등재

Landscape Pattern Evolution and Landscape Diversity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o-Temporal Change -Focused on the Hunan Green-HeartArea in Chin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28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인간의 편의 향상과 경제성을 앞세운 중국은 수십 년 전부터 도시개발에 대한 환경오염, 도시 외곽지역 재개발 등의 문제가 끊임없이 논의되어 왔다. 이러한 녹지단절이나 종 다양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광역적 생태 네트워크가 요구되어지며 공간변동의 파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확산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중국 중남부지역 ‘녹심’이라는 대도시권 녹지공간을 중심으로 토지피복도 및 경관 생태지수를 이용하여 시공간적 패턴변화와 경관다양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978-2019년의 Landsat 위성사진을 이용하여 ENVI 5.3과 ArcGIS 10.2를 통해 시계열의 경관요소를 유형화하였다. 경관 구조적·기능적 측면에서 객관적인 정량화하는 방법으로 FRAGSTATS를 통하여 경관지수를 정량화하여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1)이 지역의 경관은 1978년부터 오랜기간 토지변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되었고, 2)1989-2009년에는 택지개발이나 도로건설에 의해 주로 산림패턴에서 심각하게 파편화를 규명하였으며, 3)1999년 이후 시가지역의 경관지수에 따라 더욱 단순해지고 안정된 상태를 보였다. 4)수역이나 나지의 패치고립도가 높게 나타나고, 경관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였다. 5)2009년 이후 녹심계획과 함께 경관패턴은 전반적으로 규칙성이 있고 정형화되었다. 이와 같은 생태경관의 가치를 회복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도시권 환경을 보전하는 데 가장 바람직할 것이며, 본 연구는 향후 녹심지역에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기대된다.

The issue of urban development in terms of people oriented and economic viability has been discussing for decades in China. With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development of city suburb are taken seriously. And to avoid such as green fragmentation and biodiversity loss, it is considered that a wide-area ecological network is needed to understand the spatial changes better. This study take the ‘Green heart’ of Changsha- Zhuzhou-Xiangtang Metropolitan Region in China as an example, using an objective quantization method for structural and functional landscapes, Landscape elements in satellite photos from 1978 to 2019 were classified by time series by ENVI 5.3 and ArcGIS 10.2. the landscape index is quantified by FRAGSTATS. The result shows that: 1)The landscape in this area is dominated by natural ecology since 1978. 2)From 1989 to 2009, landscape fragmentation was obvious due to homestead development and road construction. 3)The ecological index of the construction area gradually tends to be stable since 1999. 4)The landscape isolation of water and wasteland is relatively high, which has a negative impact on landscape diversity. 5) Since 2009, with the implementation of green heart planning, the landscape pattern in this area presented certain regularity. The protection and restoration of landscape is significant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used as a very important basic data that can be sustainablity developed in the CZT Green-heart of China.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경관지수
    2.2 녹심(Green-heart)의 정의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지 선정
    3.2 연구방법
    3.3 위성사진 선정
    3.4 토지피복도 작성
    3.5 경관지수의 선정
4. 결과 및 고찰
    4.1 위성영상 정확도 분석
    4.2 토지 변화 분석
    4.3 경관패턴 변화 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주림(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Lin Zhu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서주환(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Joohwan Suh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 He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