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펀지형 도시공원 설계원칙에 대한 연구 - 중국 싼야시 동안습지공원을 대상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Principles of Sponge Urban Park Design - Focused on the Sanya Dongan Wetland Park in China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28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스펀지 도시는 도시재생 측면에 있어, 우수를 도시 내 흡수, 침투,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 물 순환 시스템의 개념이다. 이 개념은 2012년 중국 저탄소 도시 및 지역 경제 발전과학 기술포럼에서 처음으로 제기되었으며, 이로 인해 스펀지 도시에 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스펀지 도시 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스펀지형 도시공원은 일반적인 개념 외 실제 적용되는 설계원칙에 대한 내용이 미비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국 스펀지 도시의 시범 도시인 싼야(三亚)시가 추진한 솽슈(双修)와 솽청(双城) 프로젝트인 싼야시 동안(东岸) 습지공원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된 7가지의 스펀지형 도시공원 설계원칙을 대상으로 현장답사를 하였다. 또한, 대상지 이용 시민, 정부 건설 담당 부처의 공무원, 공원 관리인원 등 3개 그룹으로 나누어 인터뷰 조사·분석 방법론을 적용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안습지공원은 연결성 측면에서 상당히 양호한 연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기능 측면에서는 젊은층과 어린이를 고려한 공간 설계가 없으므로 모든 연령층을 고려한 설계방식이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인프라 시설 측면에서 공원은 더욱더 많은 휴식과 편의 시설이 필요하다고 분석된다. 스펀지성을 분석한 결과 잔도교(栈道桥)와 계단식 홍수 방지 댐을 조성하여, 양호한 홍수 방지 저류시설이 조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경제적 측면에서 공원의 유지 보호에 적어도 80명에 달하는 유지 인력이 소요되어 이를 유지할 수 있는 경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중국의 스펀지 도시는 여전히 탐색 단계에 대량 실천성 탐구가 필요하다. 즉,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연결성, 기능성, 생태성, 지역성, 안전성, 스펀지 도시성, 경제성 등 7개 유형의 스펀지형 도시공원 기본 설계 원칙을 적용한다면 기존 스펀지형 도시공원뿐만 아니라, 향후 새롭게 조성할 스펀지형 도시공원에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ponge City is the concept of urban water circulation system that allows rainwater to be absorbed, penetrated and purified in the city, in terms of urban regeneration. The concept was first raised in China's ῾low-carbon city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science and technology forum᾿ in 2012, which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ponge cities. However, sponge-type urban park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sponge cities, lack content on design principles that are applied in practice other than general concepts. Therefore, this paper was promoted by the city of Sanya, a pilot city of Sponge City in China, and ῾Shuangshu (urban restor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and ῾Shuangcheng (a comprehensive pilot city of sponge city and comprehensive plumbing management construction)᾿. The project Sanya City Wetland Park was selected for research and fieldwork was conducted on seven sponge-type urban park design principles extracted through prior research. In addition, interview survey and analysis methodologies were applied in three groups: citizens using the target site,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of government construction, and park manag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Dongan Wetland Park is building a fairly good connection in terms of connectivity. In terms of function, there is no spatial design that takes into account young people and children, so a design approach that takes into account all age groups should be applied. It is also analyzed that in terms of infrastructure facilities, parks need more rest and amenities. After analyzing the sponges, the Jando Bridge and the cascaded flood control dam were constructed, creating a good flood control low-flow facility. Finally, it can be seen that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e maintenance and protection of the park requires at least 80 maintenance personnel to be considered to maintain it. At present, the Sponge City in China is still in the exploratory stage and still needs to explore mass practicability. In other words, the basic design principles of seven types of sponge-type urban parks, including connectivity, functionality, ecology, locality, safety, sponge urbanity, and economics derived from this study, could provide basic data not only for existing sponge-type urban parks but also for future sponge-type urban parks.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스펀지형 도시공원
    2.2 스펀지형 도시공원 설계 원칙
3. 연구방법
    3.1 연구범위
    3.2 연구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새로운 스펀지형 도시공원 설계원칙 수립
    4.2 현장 평가 및 분석
    4.3 동안습지공원 인터뷰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유흘연(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Yiran Liu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김신원(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Shinwon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ollege of Art and Design, Kyung He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