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개인정보 보호의 관점에서 본 전자정보 압수수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rch and Seizure of Electronic Information from the Viewpoi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5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Center for Law & Technology)
초록

현대의 압수수색이 과거와 확연히 달라진 점 중 하나는 수사기관이 정보저장매체 등 대규모의 정보가 담긴 물건을 압수수색하여 비교적 수월하게 광범위한 전자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개인정보 보호 관점에서 현행 전자정보 압수수색 제도는 문제점이 많다. 압수수색 청구의 대상이 되는 범위에 관하여, 수사기관이 프라이버시에 대한 침해를 염두에 두지 않고 범죄혐의와 관련성이 존재할 수 있는 모든 정보저장매체 그 자체를 압수수색의 대상으로 특정하여 압수수색을 실행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영장 집행과정에서 전자정보의 선별 압수보다는 복제본 또는 저장매체 원본을 외부로 반출하는 경우가 더욱 빈번하여 예외적 상황이 원칙화되고 있다. 선별절차에서는 범죄혐의 관련성 기준이 불명확하고, 담당 수사팀의 관여 하에 선별절차가 진행되어 충분한 선별이 이뤄지지 않고, 피압수자 입장에서도 개인의 내밀한 정보가 수사기관에 제공되는 것에 대하여 적극 저지할 인센티브가 생각보다 강하지 않다. 실무상 압수 목록 교부가 지연되는 경우도 있으며, 수사기관이 범죄혐의와 무관한 개인정보 를 보유하고 있는 것에 관하여 제도상 통제가 부족하다. 범죄사실과 무관한 개인정보를 압수하는 것은, 헌법과 법률에 규정된 적법절차 원리 및 영장주의에 위반됨은 물론이고, 나아가 헌법상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의 침해 및 개인정보법령 등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개인정보 오남용, 유출 사태로 확대될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점에서 문제의 소지가 적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정보 압수 수색 시 키워드를 특정한 영장 청구/발부를 원칙화하고, 선별 단계에서 수사팀과는 별도의 중립적인 선별팀을 구성하고 피압수자의 충분한 검토를 보장하며, 압수수색된 전자정보 상세목록 제시 후 수사팀이 자료탐색을 개시하도록 하며, 수사기관이 법원에 집행계획서, 집행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개선안을 제시해본다.

A major feature of contemporary search-and-seizure practice is that the investigative authorities are allowed to obtain an extensive amount of electronic information through searches-and-seizures of material such as information storage devices, which tend to contain large amount of information. However, the current digital search-and-seizure system has plenty of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Regarding the scope of search-and-seizure requests, the investigative authorities tend to set their sight on all information storage devices that may, if at all, be related to the criminal allegations, disregarding the likelihood of invading privacy. Also, selective seizures, which shall be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for the execution of search-and-seizure warrants, are becoming less common. Instead, the modern-day approach often involves the invasive technique of taking out an entire information storage device or its image copy for an off-site review, which ought to be permitted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only. Furthermore, during the screening process,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relevance to criminal allegations are unclear, the investigation team that manage the screening process do not tend to exert enough effort, and the search-and-seizure targets themselves may not find a strong reason to actively prevent their confidential personal information from being provided to the investigative authorities. In practice, the investigative authorities may delay issuing the inventory of seized material, and the current system fails to fully address the issue of investigative authorities’ reten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rrelevant to criminal charges. Seizing personal information irrelevant to criminal charges. would not only be in violation of due process and rule of warrant, which are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and the applicable laws, but may also lead to a violation of Article 17 of the Constitution, which protects the liberty and secrecy with respect to one’s private life, and privacy law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ay further escalate into a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ssue.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i) Requiring the investigative authorities and the court to present specific keywords when requesting and issuing warrants, respectively; (ii) For the screening stage, formation of a screening team that is independent from the investigation team, and ensuring the suspect's sufficient review of the search and seizure targets; (iii) Allowing investigation team to begin review only after the issuance of the detailed inventory of seized electronic information; and (iv) Requiring the investigative authorities to submit execution plans and reports to the court.

목차
요약
I. 서론
II. 현행 전자정보 압수수색 제도
III. 개인정보 보호 관점에서 본 전자정보압수수색의 문제점
IV. 개인정보 보호의 관점에서 본 전자정보 압수수색의 개선방안
V. 결론
저자
  • 김영준(서울대학교 법과대학/김⋅장 법률사무소) | Young-joo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