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양배추 품종의 열대성 짐바브웨 조건에서의 적응성 및 생산성 분석
양배추는 짐바브웨 소규모 농가의 음식, 영양 및 소득원으로서 가장 중요한 엽채류 중의 한가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2종의 한국산 양배추 품종(K5 적보라색과 K8 녹색)이 짐바브웨의 열대성 기후에 적응이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현지 생산 품종인 Fabiola과 생산성(yield), 조숙성(earliness) 및 연도 (tenderness) 등의 특성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2017년 짐바브웨 과학산업연구개발센터(SIRDC, Scientific Industrial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의 시험포장에서 격리 상태로 5반복 실험으로 진행되었다. 1. 품종별 재배 기간은 현지 품종인 Fabiola가 85-90일, K5 품종이 120-140일 및 K8 품종이 100-120일 정도였다. 2. 양배추 두부 무게는 K8가 Fabiola와 K5 품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흥미로운 점은 K5 품종의 경우 타 품종에 비하여 무게가 2-3배 적었다. 3. K8은 35 ton/ha로서 K5의 18과 Fabiola의 25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판매 가능한 양배추 생산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K8과 K5 두 한국 양배추 품종 의 생산성, 재배기간 및 품질 특성 등을 현지 품종인 Fabiola 와 비교한 결과 열대성 기후인 짐바브웨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며 상품성 또한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Cabbage (Brassica oleraceae var. Capitata 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leafy vegetables grown by smallholder farmers in Zimbabwe for food, nutrition, and income security. The study evaluated the adaptation of two Korean varieties/entries (‘K5’ reddish-purple and ‘K8’ white-green) under Zimbabwe’s tropical conditions compared to the industry’s standard variety ‘Fabiola’ preferred for its high yield, earliness, and tendernes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Scientific Industrial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SIRDC) farm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five replications. Two Korean cabbage varieties ‘K8’ (white) and ‘K5’ (red) were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Fabiola’ hybrid being an industry standard preferred for its high yield, earliness, and tenderness. The actual days to maturity from transplanted seedlings ranged between 85-90 days in ‘Fabiola’, but ‘K8’ matured at 100-120 days and ‘K5’ at 120-140 days are categorized as mid-season to late maturing varieties. The ‘K8’ had bigger head weight than ‘Fabiola’ and ‘K5’ (P<0.05). Interestingly, the head weight of ‘K5’ was 2 or 3 times less compared to the both varieties. ‘K8’ had higher estimated marketable yield of 35t/ha than ‘Fabiola’ (25t/ha) and ‘K5’ (18t/ha) (P<0.05). Based on market preferences relative to head sizes and implications on health, the two Korean varieties can adapt satisfactorily to Zimbabwean and the tropical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