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칠칠재의 전형과 변용의 파노라마 KCI 등재

The panorama of the archetype of Chilchiljae and its vari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8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논문은 한국불교의 사후 칠칠재의 전형과 변용을 의례적 관점에서 살펴본 글이다. 현재 널리 유행되고 있는 사십구재라는 명칭은 근래에 이르러 쓰이기 시작했다. 불교의 생사관에 의하면 인간은 사후 49일이라는 중유 기간에 본인의 선업과 다른 이들이 지내주는 칠칠재에 의해 다음 생에 더 나은 곳에 태어날 수 있다고 한다. 사후 7일마다 행하는 칠칠재는 망자를 위해 명부시왕에 권공하는 것이 핵심인데, 이는 십선을 권장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망자의 공덕을 닦아주는 또 하나 의 의식으로는 경전을 염송해 주는 법석이 있으며, 법석 가운데 법화법 석이 영산재로 발전하였다. 이와 아울러 불보살의 명호를 칭명하는 정근의식도 칠칠재에서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근현대에 이르러 시왕권공 중심의 칠칠재 의식이 지장보살에 대한 권공의식으로 변천해 가고 있다. 이는 명부시왕의 부정적 이미지가 상단[지장]권공의 긍정적 이미지에 덮이게 된 데 기인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칠칠재(사십구재)는 망자와 산자의 소통통로이자 함께 잘 사는 신행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writing considers the archetype of Chilchiljae (七七齋, the weekly ritual for seven weeks) after death in Korean Buddhism and its var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itual. The name of Chilchiljae, popular nowadays, used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the Buddhist concept of life and death, it is said that human beings can be reborn in a better world as a result of both their own wholesome deeds and Chilchiljae others perform for antarrābhava (中有, the intermediate existence) during 49 days after their death. the essence of Chilchiljae is the ceremony of inviting The ten kings of hell (冥府 十王) to the offering for the sake of the dead, whose objective is to encourage people to do good.
Another ritual for the virtue of the dead is beopseok (法席, Dharma seat), where people chant sutras for the dead. Yeongasnjae (靈山齊, Vulture Peak ritual) originated from Beopwha Beopseok (Saddharmapuṇḍarīka Dharma seat), a form of beopseok. The rite of jeonggeun (精勤, fervent discipline), where they chant buddhas’ and Bodhisattvas’ name, is active in Chilchiljae.
But the main guests of the offering have been changing from The ten kings of hell (冥府十王) to Kṣitigarbha (Earth Store Bodhisattva) in modern and contemporary Chilchiljae. It might be because the positive image of Kṣitigarbha is preferred to the negative one of The ten kings of hell. It can be said that Chilchiljae is a channel of communication and the practice of faith for both the dead and the living.

목차
국문초록
Ⅰ. 글말의 인유를 드러내다
Ⅱ. 생사순환의 길목에 서다
Ⅲ. 재계수지로 공덕을 닦다
Ⅳ. 망자의 공덕을 닦아주다
Ⅴ. 칠일마다 시왕권공 하다
Ⅵ. 경전과 명호를 들려주다
Ⅶ. 지장의 대원을 의지하다
Ⅷ. 망자와 산자를 이어주다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성운(불교의례문화연구소) | Lee Sung woon (Institute of Buddhist rites and culture)
  • 김인묵(붓다아카데미) | Kim In mook (Institute of Buddhist rites and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