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법화경』 「신해품」의 장자궁자 비유를 통해 고찰한 불교 상담사의 길 KCI 등재

The Path of Buddhist Counselors to Consider through the ‘Jangjagungjayu’ in ‘Shinhaepum’ in the Sutra of the Lotu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8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7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본 고는 법화경 「신해품」의 장자궁자의 내용이 불교 상담의 과정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고, 신해품의 비유를 불교 상담적 관점에서 해석하며 불교 상담사에게 필요한 자질에 대해 고찰하였다. 신해품의 장자궁 자 비유에서 장자는 소승의 마음을 가진 궁자의 의식 상태를 알아차리 고 궁자에 대한 자비심을 내어 대승의 마음을 가질 수 있을 때까지 존중하고 배려하는 태도를 견지한다. 궁자는 장자의 보살핌을 통해 자신을 올바로 인식하고 자신에게 본래부터 있던 불성의 유산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일련의 과정이 불교 상담에서도 일어나고 있다는 입장으로 불교 상담사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불교 상담사는 내담자의 트라우마를 바라보는 자비의 마음과 지혜로운 관점을 유지하며 보살로서의 역할을 해나가야 한다. 이를 이행하기 위해 불 교 상담사는 먼저 자기 인식을 넓히고 의식의 성장을 거쳐 대승의 마음 을 갖춰나가야 할 것이다. 이런 불교 상담사의 자기 성찰이 기본이 되고 나서 장자가 궁자를 대하듯 내담자의 아픔을 자신의 고통처럼 받아 들이고 상호의존하며 함께 성장해가는 과정을 만들어 나갈 수 있겠다. 이런 상호존중의 과정을 불교 상담사와 내담자가 더불어 이루어 가는 것이 불교 상담이 가진 특이점으로서 보여 진다. 따라서 불교에 기반으로 한 불교 상담을 진행하는 불교 상담사는 연기적 관점과 보리심을 지난 보살의 마음을 지녀야 한다. 또한 불교의 사성제를 이해하고 무상과 무아에 대한 올바른 앎을 지니며 내담자의 고통을 해결할 수 있는 불교적 치유기법을 익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토대로 활동하는 불교 상담사의 기본 자질과 마음 자세를 수련하고 실습하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구축된다면 현대인의 심리적 고통을 치유하는 방법으로서의 불교 상담이 지금 시대에 자리 잡게 될 것이다.

In "The Sutra of the Lotus," the ancient government interpreted the analogy of the divine product from a Buddhist counseling perspective and considered the qualities necessary for Buddhist counselors. In the metaphor of the "Jangjagungja" of ‘Shinhaepum’, Jangja notices the state of Gungja's consciousness with the spirit of the small monk and maintains a respectful and caring attitude until he can have the spirit of the great monk with the mercy of the prince. Through the care of Jangja, Gungja changes so that he can recognize himself correctly and accept the legacy of his original disloyalty.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role of a Buddhist counselor in the position that this series of processes is taking place in Buddhist counseling, and the Buddhist counselor should play the role of a Bodhisattva by maintaining the spirit of mercy and wise view of the trauma of the physician. In order to implement this, Buddhist counselors will have to broaden their self-awareness first, grow consciousness, and build a great monk's mind. After the Buddhist counselor's self-reflection becomes the basis, we will be able to take the pain of the deceased as if it were our own pain, interdependence, and grow together. This process of mutual respect is seen as a unique feature of Buddhist counseling, which Buddhist counselors and counselors work together. Therefore, Buddhist counselors who conduct Buddhist counseling based on Buddhism should have an acting point of view and a spirit of Bodhisattva.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the Buddhist sacrament, to have the right knowledge of self-renunciation and impermanence, and to learn Buddhist healing techniques that can solve the pain of a physician. If a systematic curriculum is established to train and practice the basic qualities and mind-set of Buddhist counselors based on the results so far, Buddhist counseling as a baton to heal the psychological pain of modern people will be established in this era.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불교 상담의 정의
Ⅲ. 『법화경』 「신해품」 장자궁자 비유의 불교상담적 해석
Ⅳ. 「신해품」 장자궁자 비유를 통해 본 불교상담사의 길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임시연(만다라심리연구소) | Lim Siyeon (Mandala Psychology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