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경수로 선발된 제주 자생 왕벚나무 클론의 형태적 특성 및 유연관계 분석 KCI 등재

The Analysis of Flower Morpological Charateristics and Correlation of Native Prunus Yedoensis Matsum. Clone Selected as Landscape Tree in Jeju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8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자생 왕벚나무 조경수 및 가로수 수종 개발 연구에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국내 선발된 9개 클론에서 개화기간 및 꽃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클론 간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꽃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클론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JJ02 클론이 총 13개의 꽃 특성 중 7개 특성이 상위그룹에 속하여 큰 경향을 나타낸 반면, JJ52 클론은 7개 특성이 하위 그룹에 속하여 비교적 작은 경향을 나타냈다. 조경수로 식재되는 벚나무는 개화기간이 길며, 꽃이 크고 개화량이 높은 수종을 선호하므로 JJ02 클론의 경우 가장 적합한 클론으로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 1주성분은 24.3%의 설명력이 있으며 꽃받침통 너비(FHW), 화편 길이(PL), 화편 폭(PW) 순으로 높은 상관을 나타내어 클론 간 꽃의 형태적 차이를 설명하는 주요 형질로 나타났다. 총화경(LP) 및 소화경(LPI) 길이와 높은 상관을 보인 제 2주성분, 20㎝ 개화지 당 꽃수(NIPF)와 화서 당 꽃수(NFPI)와 높은 상관을 보인 제 3주성분, 암술대 길이(SL)와 높은 상관을 보인 제 4주성분을 2차원 공간상에 배열해 본 결과 JJ02 클론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 4주성분까지 설명력은 76.2%로 나타났다. 제 4주성분까지의 득점치를 새로운 변량으로 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 Ⅰ그룹인 JJ31 등 4개 클론, 그룹 Ⅱ은 JJ21 등 4개 클론, 그룹 Ⅲ은 JJ02 등 1개 클론으로 총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클론 간 형태적 특성에 의해 소그룹으로 구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lowering period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owers from 9 clones selected domestically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a clones in order to secur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native flowering cherry landscaping and street tree species.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owers and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clones, JJ02 showed a large tendency with 7 characteristics among 13 belong to a upper group while the JJ52 clone showed a relatively small tendency, with 7 characteristics belonging to the lower grou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ain components, the primary component has 24.3% explanatory power and showed relationship in the order of flower hypanthium width (FHW), petal length (PL) and petal width (PW), which showed the main characteristic that explains the difference in form between clones. As a result of arranging the second main component showing a high correlation with total flower stalk and total small stalk length, the third main components showing a high relationship with Number of flower per 20㎝ branch (NFPB) and Number of flower per inflorescence (NFPI), and the 4th major component showing a high relationship with the length of style(LS) on the 2 dimensional space, JJ02 proved to be excellent, the explanatory power until 4 major components is shown to be 76.2%. As a result of conducting group analysis with the scores until 4 major components as a new variable, Four clone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of I group including 4 clones such as JJ31, II group including 4 clones such as JJ21 and III group including 1 clone such as JJ02, and it was known that they can be classified into small groups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lones.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공시 재료
    2. 꽃의 개화특성
    3. 꽃의 형태적 특성
    4.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꽃의 개화특성
    2. 꽃의 형태적 특성
    3. 상관관계 분석
    4. 주성분 분석
    5. 군집 분석
References
저자
  • 진언주(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Eon-Ju Jin (Forest Biomaterial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Jinju 52817, Korea)
  • 윤준혁(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Jun-Hyuck Yoon (Forest Biomaterial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Jinju 52817,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성창현(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Chang-Hyun Sung (Forest Biomaterial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Jinju 52817, Korea)
  • 배은지(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Eun-Ji Bae (Forest Biomaterial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Jinju 52817, Korea)
  • 서연옥(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Yeon-Ok Seo (2Warm-Temperat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gwipo, 697-050,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