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코치의 직무자원과 업무만족도의 관계: 직무요구를 통한 직무열의의 조절된 매개효과 KCI 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and Job Satisfaction of Coaches: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he Job Engagement through Job Deman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96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운동선수 코치의 업무와 관련된 긍정적인 변인을 밝히려는 연구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직무요 구-자원(JD-R) 모델에서 직무열의를 통해 업무와 관련된 긍정적 측면을 밝히려는 동기적 과정을 적용해 관련변인을 선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자원과 업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직무자원과 직무요구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학원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를 지도하는 코치 15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코칭업무에 부합되게 수정된 직무자원, 직무열의, 직무요구, 업무만족도 등 4가지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을 시작으로 신뢰도 분석, 구성타당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단순매개모형 분석과 조건부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의 직무자원은 직무열의를 경유하여 업무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치의 직무자원이 직무열의를 통해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직무요구의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 현장의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 열의는 코치업무의 긍정적인 측면을 설명하는 주요한 변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과도한 직무요구가 발생하 면 업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itive variables related to the work of coaches. Therefore, relevant variab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applying the motivational aspect, which is a positive process described i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and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coaches, and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job resources and job demands was verifie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56 coaches through questionnaires that assessed the job resources, job engagement, job demands, and job satisfac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struct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effect test,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job resources mediated the job satisfaction through job engagement. This relationship was reduced by higher levels of the job demands.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job engagement perceived by coaches in the sports field is a major variable explaining the positive aspects of coaching. However, it was found that excessive job demands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work.

목차
I. 서 론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기술통계 분석 및 상관관계
    2. 매개모형 분석
    3. 조건부 모형 검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이강헌(창원대학교) | Kanghun Lee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근철(창원대학교) | Keunchul Lee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김용세(서울대학교) | Yongse Kim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