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의식적인 체간 근육의 동시 활성화(co-activation) 조건과 1RM(repetition max)의 50%, 65%, 80%의 부하 수준에서 바벨 백 스쿼트(barbell back squat)를 수행하였을 때, 척추 분절의 자유도의 변화 양상을 관찰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인 체중의 1.8∼2배 이상으로 바벨 백 스쿼트를 수행할 수 있는 4명의 연구 참여자들에게 실험 조건에 따른 운동학적 자료를 수집한 뒤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사용하여 척추의 자유도를 정량화하였다. 결과: 전체 분산의 95% 이상을 설명할 수 있는 주성분의 개수(5개)를 기준으로 백 스쿼트의 하강 구간에서 의식적인 활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상승 구간에서는 부하 조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백 스쿼트의 하강 구간 동안 의식적인 체간 근육의 동시 활성화에 의해 척추 분절의 자유도가 제한될 수 있으며 상승 구간에서는 부하 수준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observe the aspect of transition in degrees of freedom of spine segment while performing Barbell Back Squat on the load levels with 50%, 65%, and 80% of 1 repetition max (RM) in conscious co-contraction of torso-muscle conditions. Methods: Thus, we collected kinematic data of four participants, each of who could perform Barbell Back Squat over 1.8 to 2 times body weight, and quantified the degrees of freedom of the spine by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sults: Based on the number of principal components, which is 5, to account for more than 95% of the total variance, we discov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ed variables within the principal components depending on conscious control in the descending phase of the squat and depending on the load levels during the ascending phase. Conclusion: The degrees of freedom of spine segment can be restricted due to conscious co-activation of torso-muscle during the descending phase of the squat while the degrees of freedom of spine segment differ based on the loading conditions during the ascending phase of the squ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