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병재배용 느타리 품종 『흑타리』의 배양온도에 따른 미발이 관계 규명 KCI 등재

Cause of undeveloped primordium formation according to incubation temperature of new oyster mushroom cultivar 『Heuktari』 for bottle cultiv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0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버섯학회지 (Journal of Mushrooms (J. Mushrooms))
한국버섯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Science)
초록

느타리 ‘흑타리’ 품종의 배양 중 고온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되는 미발이 현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배양온도에 따른 생육차이를 조사하였다. PDA 배지에서‘흑타리’의 적정생육온도는 23~26 ̊C였고, 균사생장속도는 ‘춘추2호’에 비하여 빠른편이었다. 병내 배지온도는 초기에 상승하여 배양 중반에 최고점에 도달한 후 온도가 하강하였다. 배양 온도가 높을수록 배양기간은 짧아졌다. 배양온도 20 ̊C 처리구에서 배양기간은 25일 정도 소요되었으며, 미발이율은 1.8%, 수량은 139.4 g/병을 나타내었다. 배양온도 24 ̊C 처리구에서 배양기간은 20일 정도 소요되었으며, 미발이율은 4.2%, 병당수량은 132.1 g/병을 나타내었다. 배양온도 16 ̊C와 28 ̊C처리구에서는 미발이율이 증가되었고 수량이 감소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농가에서 배양온도와 미발이율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배양실 온도를 18 ̊C로 설정하고 배지품온을 28 ̊C 미만으로 관리하는 농가는 미발이율이 0.3~0.8%를 나타내었다. 배양실내의 온도가 20 ̊C 이상이며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농가에서는 미발이율이 3.5% 정도 발생되었다. 배양실 온도가 19 ̊C이며 배지 최고 품온이 31.3 ̊C까지 상승하는 농가는 미발이율이 8.2%로 높게 나타났다. 배양중 병내부 온도가 28 ̊C이상 상승하고 배양실내의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미발이율이 증가하고 수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배양실은 배지품온이 28 ̊C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배양실 내부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고, 배양공간에 맞는 최적의 배양량을 넣어 관리하여야 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olve the failure of fruiting body production in the bottle cultivation of the oyster mushroom cultivar ‘Heuktari’. The effects of incubation temperature on primordium formation and fruiting body yield of the oyster mushroom cultivar ‘Heuktari’ were investigated. The proper temperature for mycelium growth of ‘Heuktari’ on potato dextrose agar (PDA) medium is 23–26oC. The mycelial growth of ‘Heuktari’ was faster than that of Chunchu 2ho. During mycelial culture in sawdust medium, the temperature of the medium in the bottle initially increased, reached the highest point in the middle of the culture, and then decreased. The higher the set temperature, the shorter the incubation period. When the incubation temperatures were 20°C and 24°C, respectively, the undeveloped primordium formation rates were low (1.8% and 4.2%, respectively). However, the rate of undeveloped primordium formation increased, and the yield decreased at incubation temperatures of 16°C and 28°C. Mushroom farms that set incubation temperatures to 18°C and maintained the medium temperature at less than 28°C showed undeveloped primordium formation rates ranging between 0.3-0.8%. The rate of undeveloped primordium formation increased and the yield decreased in the farms with high incubation temperatures (above 28°C). We found that in order to reduce undeveloped primordium formation, the air inside the incubation room should be circulated continuously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medium does not rise above 28°C, and dense incubation conditions should be avoided.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실험 재료
    온도별 균사 생장량
    종균 및 생육배지 제조
    배양조건 및 생육특성 조사
    배양온도에 따른 미발이율 농가검증
결 과
    온도별 균사생장량
    배양설정온도별 배지품온변화
    배양온도별 발이특성
    농가배양관리
고 찰
적 요
REFERENCES
저자
  • 최종인(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Jong In Choi (Mushroom Research Institut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Corresponding author
  • 김정한(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Jeong Han Kim (Mushroom Research Institut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권희민(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Hee Min Gwon (Mushroom Research Institut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이윤혜(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Yun Hae Lee (Mushroom Research Institut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신복음(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Bok Eum Shin (Mushroom Research Institut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구옥(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Ok Gu (Mushroom Research Institut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하태문(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Tai Moon Ha (Mushroom Research Institut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정구현(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Gu Hyun Jung (Mushroom Research Institute,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