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녹나무과 상록활엽수 자생지 기후특성과 기후변화에 따른 분포 변화 KCI 등재

Habitat Climate Characteristics of Lauracea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and Distribution Chang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1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기후변화는 생물계절반응 변화와 식물 자생지 이동을 초래한다. 우리나라 상록활엽수림도 과거 20년에 비해 분포역이 넓어지고 있으며, 자생지 범위가 북상하고 있다. 이에 따른 녹나무과 상록활엽수의 자생지 변화 예측을 위해 먼저, 식생의 분포와 관련이 깊은 온량지수와 한랭지수, 최한월 최저기온, 연평균기온 등 기후지표를 분석하였다. 그 변화량과 공간분포분석 을 통해 우리나라 난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녹나무과 상록활엽수 8종의 자생지 기후지표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기후지표특성 을 바탕으로 MaxEnt 종 분포모형을 적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4.5/8.5)에 따른 21세기 자생지 변화를 예측하였다. 녹나무과 상록활엽수 8종의 자생지 월 평균 기후지표 특성은 온량지수 116.9±10.8℃, 한랭지수 3.9±3.8℃, 연강수량 1495.7±455.4㎜, 건습지수 11.7±3.5, 연평균 기온 14.4±1.1℃, 동계 평균 최저기온 1.0±2.1℃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시나리 오 RCP 4.5에 근거한 녹나무과 상록활엽수의 분포는 전라남도와 경상남도를 포함하는 도서지방과 서·남해안의 인접지역, 동해안의 강원도 고성까지 분포가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8.5에 근거한 분포의 경우 전라남도 와 경상남도의 전 지역과 전라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수도권의 일부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으로 분포가 확대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후변화에 대비한 녹나무과 상록활엽수의 보전을 위해서는 자생지 내·외 보전 기준설정 및 다양한 자생지 특성 분석이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기후지표를 기반으로 한 생물계절정 자료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녹나무과 상록활엽수의 분포, 이동, 쇠퇴 등의 미세변화를 선제적으로 감지하고 보전관리 방안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Climate change leads to changes in phenological response and movement of plant habitats. Korea'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has widened its distribution area compared for the past 20 years, and the range of its native habitats is moving northward. We analyzed climate indices such as the warmth index, the cold index, the lowest temperature in the coldest month, and the annual average temperature,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vegetation distribution, to predict the change in the native habitat of Lauracea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We also analyzed the change and spatial distribution to identify the habitat climate characteristics of 8 species of Lauracea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distributed in the warm temperate zone in Korea. Moreover, we predicted the natural habitat change in the 21st century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scenario (RCP 4.5/8.5), applying the MaxEnt species distribution model. The monthly average climate index of the 8 species of Lauracea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was 116.9±10.8℃ for the temperate index, the cold index 3.9±3.8℃, 1495.7±455.4㎜ for the annual precipitation, 11.7±3.5 for the humidity index, 14.4±1.1℃ for the annual average temperature, and 1.0±2.1℃ for the lowest temperature of winter. Based on the climate change scenario RCP 4.5, the distribution of the Lauracea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was analyzed to expand to islands of Jeollanam-do and Gyeongsangnam-do, adjacent areas of the west and south coasts, and Goseong, Gangwon-do on the east coast. In the case of the distribution based on the climate change scenario RCP 8.5, it was analyzed that the distribution would expand to all of Jeollanam-do and Gyeongsangnam-do, and most regions except for some parts of Jeollabuk-do, Chungcheongnam-do, Gyeongsangbuk-do, and the capital region. For the conservation of Lauracea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to prepare for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andards for conservation plans such as in-situ and ex-situ conservation and analyze various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ive habitat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preemptively detect changes such as distribution, migration, and decline of Lauracea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following climate change based on phenological response data based on climate indicators and establish conservation management plan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수종선정 및 연구대상지 선정
    2. 녹나무과 상록활엽수 자생지 기후지표 분석
    3. 기후변화에 따른 녹나무과 상록활엽수 분포 예측
결과 및 고찰
    1. 기후지표 분석
    2. RCP4.5 및 8.5 시나리오에 따른 녹나무과 상록활엽수분포 변화
    3.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유승봉(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Seung-Bong Yu (DMZ Botanic Garden, Korea National Arboretum)
  • 김병도(대구수목원 교육연구팀 녹지연구사) | Byung-Do Kim (Department of Education and Research)
  • 신현탁(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Hyun-Tak Shin (DMZ Botanic Garden, Korea National Arboretum)
  • 김상준(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Sang-Jun Kim (DMZ Botanic Garden, Korea National Arboretum) 교신저자